성경적_신학적_역사적 관전에서 본 언약신학(7장 모세 언약) 요약
- 최초 등록일
- 2023.04.23
- 최종 저작일
- 2023.03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소개글
"성경적_신학적_역사적 관전에서 본 언약신학(7장 모세 언약) 요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니컬러스 리드(202~203p)
2. 이분법 견해(205~206p)
3. 연속성과 불연속성(206~211p)
4. 하나님의 율법(211~213p)
1) 의식법(213p)
2) 재판법(213p)
3) 도덕법
4) 율법(도덕법)의 삼중 용도(214~218p)
5. 하나님의 사랑과 하나님의 율법(219~224p)
6. 포로사건(224~228p)
7. 재판포 주장: 행위 원리(228~236p)
8. 결론(236~237p)
본문내용
니컬러스 리드(202~203p)
모세 언약은 개혁파 전통 속에서 다양하게 이해되었다. 그 다양성은 율법을 다루는 방식의 다양한 난점들이다. 바울의 예를들면 로마서에서는 “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파기하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롬 3:31). 그러나 세장 뒤에서는 “죄가 너희를 주장하지 못하리니 이는 너희가 법 아래에 있지 아니하고 은혜 아래에 있음이라”(롬 6:14) 이 본문을 어떻게 설명하느냐에 따라 그의 언약신학에 대한 명확한 견해가 형성된다.
모세 언약 주제에 대한 유용한 서론을 제공하기 위해 웨스트민스트 신앙고백의 신학 안에서 모세 언약이 차지하는 위치를 설명하고자 한다.(17세기 개혁파 신학의 주류 입장을 통해 고찰)
이어서 이분법, 견해연속성과 불연속성, 하나님의 율법, 율법(도덕법)의 삼중 용도, 하나님의 사랑과 하나님의 율법, 포로사건, 재판포 주장: 행위 원리 순으로 고찰하겠다.
이분법 견해(205~206p)
웨스트민스트 7장에서 이분법 견해를 개혁파의 주류 견해로 제시한다. 이분법 견해를 지지하는 자는 구속사 속에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두 개의 주요 언약이 있다고 주장한다. 타락 이전에 아담과 맺은 행위 언약과 타락 이후에 맺은 은혜 언약이 그것이다. 구속사 속에서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창세기 3장 15절에서 ‘프로토에반겔리움’ 곧 원복음이 타락한 아담과 하와에게 주어졌을 때 은혜언약이 시작된 것이다. 이 관점은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의 근본적 통일성을 인정하지만 하나의 은혜 언약이 다양하게 시행 된 것을 주장하는 데 힘쓴다. 이 견해는 실체와 우연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를 사용해 명확히 할 수 있다.
실체는 어떤 사물의 본질에 속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우연은 우발적인 사물에 속하고 그 사물의 본질에 직접 닿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참고 자료
성경적·신학적·역사적 관전에서 본 언약신학
저 : 가이 워터스, 니컬러스 리드, 존 뮤더역 : 김귀탁출판사 : 부흥과개혁사발행 : 2022년 09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