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아시아경제공동체론] 연구보고서 - ASEAN에서의 RCEP의 의의 및 역할

2022학년도 2학기, 아시아경제공동체론(ㅎㅎㅅ교수님) 수업 수강하였고, 연구보고서 과제물입니다. 채점 결과는 30점 만점에 30점 만점을 받았습니다. 12월 9일까지 런어스 과제제출란(15주차)에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연구보고서의 분량: A4용지 한면(양면 아님)으로 5장 이내
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7 최종저작일 2022.12
9P 미리보기
[아시아경제공동체론] 연구보고서 - ASEAN에서의 RCEP의 의의 및 역할
  • 미리보기

    소개

    2022학년도 2학기, 아시아경제공동체론(ㅎㅎㅅ교수님) 수업 수강하였고, 연구보고서 과제물입니다. 채점 결과는 30점 만점에 30점 만점을 받았습니다.

    12월 9일까지 런어스 과제제출란(15주차)에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연구보고서의 분량: A4용지 한면(양면 아님)으로 5장 이내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II. 이론적 검토
    1. 아세안과 자유무역협정
    2. 정책 확산 관점에서의 RCEP

    III. ASEAN의 RCEP 인식
    1. TPP와 RCEP 차이
    2. 향휴 아세안의 RCEP 기대

    IV. 결론
    1. 아세안의 중심성 유지 노력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세안 국가들의 경우, 1992년 아세안 자유무역지역(AFTA; (ASEAN Free Trade Area) 형성에 합의하여 이미 아세안 역내에서는 관세가 철폐되었다. 이후 통관 철자 등 비관세장벽 철폐도 추진되고 있었다. 아세안의 경제통합은 ASEAN 경제공동체(ASEAN Economic Community) 구축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었다. 아세안은 안보적으로는 미국에 의존하면서, 경제적으로는 중국과의 협력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였다. 중립적인 형태로서 미국과 중국뿐만 아니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다양한 역외 대화국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왔다. 실제로 아세안은 밀접한 관계를 구축해 온 다양한 역외 대화국들과도 FTA를 체결해 왔으며, EU와도 회원국별로 FTA를 체결하기로 합의하였다. 현재 싱가포르-EU FTA, 베트남-EU FTA가 체결되었으며, 말레이시아의 경우 협상 중(2022년 6월 기준)이다.
    FTA 형성의 정치적 요인으로는 다양한 이론적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 동맹끼리 긴밀하고 우호적인 관계를 맺는 나라들끼리는 FTA를 가지기 쉽다는 연구도 존재한다. 아세안 자유무역지역은 아세안 국가들이 정치협력을 추진하여 신뢰를 형성한 결과라는 견해가 있으며 한·중·일과 함께하는 ASEAN+1, 혹은 ASEAN+3 FTA 역시 역외 대화국과의 FTA이므로 긴밀한 국가 간 관계가 FTA 형성의 조건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다. RCEP 역시 아세안 여러 나라와 역외 대화국과의 FTA로, 관계의 측면에서는, AFTA 혹은 ASEAN+1/ASEAN+3 FTA와 비슷한 맥락에서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의 경우, FTA 형성의 조건에 대해는 서술할 수 있으나, 형성의 동기에 대해서는 많은 것을 설명해주지 못한다. 한편, 아세안은 최근 역내에서 중국의 패권 부상과 미국의 상대적 쇠퇴, 그리고 신냉전이라 불리는 미·중 전략경쟁의 격화라는 새로운 외부 환경의 도전을 맞이하게 되었다.

    참고자료

    · 김희중, 「RCEP 서명에 따른 CPTPP와의 협정문 주요 내용 비교 분석」, 『법학논총』 제49권,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 Soo Yeon Kim, Edward D. Mansfield, and Helen Milner, “Regional Trade Governance”, The Oxford Handbook of Comparative Regionalism, 7 Apr. 2016.
    · Thomas Risse, 87-108, “The Diffusion of Regionalism”, The Oxford Handbook of Comparative Regionalism, 7 Apr. 2016.
    · 大矢根聡, 大西裕編, 『FTA・TPP の政治学――貿易自由化と安全保障・社会保障』, 東京: 有斐閣, 2016.
    · 라미령, 연원호, 오수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세계경제 포커스』 제3권 36호, 2020. 12. 11. 2.
    · 熊谷 聡, 早川和伸, 「地域的な包括的経済連携(RCEP)協定の経済効果: IDE-GSM による分析」, 『アジ研ポリシー・ブリーフ』 No. 143, 2021. 3. 26.
    · 최원기, 「특집: 아시아의 미래와 전략 (2) 미중 전략경쟁과 아세안의 아시아 지역전략」, 『아시아 브리프』, 2021. 7. 5. (https://snuac.snu.ac.kr/?p=32856, 2022. 12. 9.).
    · 『한-ASEAN FTA』(https://www.fta.go.kr/main/situation/fta/world/, 2022. 12. 9)
    · 「룰 메이커(Rule Maker)? 룰 테이커(Rule Taker)? 룰 브레이커(Rule Breaker)!」, 『Bangkok Post』, 2020. 11. 11. (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5262, 2022. 12. 9.).
    · 「PM: No need to rush over TPP decision」, 『Bangkok Post』, 2015. 10. 21.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737144/pm-no-need-to-rush-over-tpp-decision, 2022. 12. 9.).
    · 「RI can gain much from TPP, US think tank says」, 『The Jakarta Post』, 2013. 4. 17. (https://www.thejakartapost.com/news/2013/04/17/ri-can-gain-much-tpp-us-think-tank-says.html, 2022. 12. 9.).
    · 「Hunt for talent stiffens as industry expands」, 『The Jakarta Post』, 2016. 1. 26. (https://www.thejakartapost.com/news/2016/01/26/hunt-talent-stiffens-industry-expands.html, 2022. 12. 9.).
    · 「'Significant' Apec summit」, 『Bangkok Post』, 2016. 11. 16. (https://www.bangkokpost.com/business/737144/pm-no-need-to-rush-over-tpp-decision, 2022. 12. 9.).
    · 「Economy in brief: RI calls for unified ASEAN position」, 『The Jakarta Post』, 2018. 3. 27. (https://www.thejakartapost.com/news/2018/03/27/economy-brief-ri-calls-unified-asean-position.html, 2022. 12. 9.).
    · 「RI and the Pacific: A history of cooperation」, 『The Jakarta Post』, 2017. 12. 2. (https://www.thejakartapost.com/adv/2016/12/02/ri-and-the-pacific-a-history-of-cooperation.html, 2022. 12. 9.).
    · 「ASEAN’s nature and ‘endless’ RCEP negotiations」, 『The Jakarta Post』, 2018. 9. 1. (https://www.thejakartapost.com/news/2018/09/01/asean-s-nature-and-endless-rcep-negotiations.html, 2022. 12. 9.).
    · 「ASEAN’s nature and ‘endless’ RCEP negotiations」, 『The Jakarta Post』, 2018. 9. 1. (https://www.thejakartapost.com/news/2018/05/30/japan-aims-to-abolish-term-limits-for-some-foreign-workers.html, 2022. 12. 9.).
    · 「China-Backed Asia Trade Deal Pushed Back to 2019 Amid Delays」, 『Bloomberg』, 2018. 11. 13.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8-11-13/china-backed-asia-trade-deal-pushed-back-to-2019-amid-delays?leadSource=uverify%20wall, 2022. 12. 9.).
    · 「RCEP: More relevant now than ever」, 『The Jakarta Post』, 2017. 2. 20. (https://www.thejakartapost.com/news/2017/02/20/rcep-more-relevant-now-ever.html, 2022. 12. 9.).
    · 「RCEP negotiations in 'final stages', should be completed by 2019 or early 2020: Chan Chun Sing」, 『Straits Times』, 2019. 9. 2. (https://www.straitstimes.com/business/rcep-negotiations-are-in-final-stages-and-should-be-completed-by-this-year-or-early-next, 2022. 12. 9.).
    · 「RCEP talks shouldn’t leave India out」, 『Bangkok Post』, 2020. 5. 17. (https://www.thejakartapost.com/news/2017/02/20/rcep-more-relevant-now-ever.html, 2022. 12. 9.).
  • 자료후기

    Ai 리뷰
    RCEP의 협상 과정과 아세안 국가들의 인식, 그리고 향후 RCEP에 대한 기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