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_2021년 중점관리대상 재난안전사고 국내외 재난 관련 보건의료정책
- 최초 등록일
- 2023.03.28
- 최종 저작일
- 2022.05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_2021년 중점관리대상 재난안전사고 국내외 재난 관련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우리나라의 재난 안전사고 분석
2)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재난 관련된 보건의료정책 자료수집, 분석
3) 재난 관련된 정책 내에서의 지역간호사의 역할
4) 최종적으로 우리나라의 보건의료 정책 예방정책, 더 나은 재난 안전사고를 관리하기 위한 개선방안
3. 결론
본문내용
■ 서론
2022년 보건의료 정책은 코로나19 이전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반복되는 문제를 뿌리 뽑고 더 나은 미래를 앞당기는 정책이어야 한다. 코로나19 충격의 단기적 대응뿐 아니라 미래 보건의료시스템의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미래 감염병 X에 대응하는 공공보건의료체계 강화’, ‘환자중심 가치기반 의료 확대’, ‘건강안전망 확대’ 정책들이 상보적 관계에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환자중심 가치기반 의료시스템구축을 위해 상급종합병원 중심에서 의원 중심으로 의료전달체계 개편의 방향을 전환하고 보건복지부 산하에 일차의료 혁신 센터를 설치하여 의원 중심의 일차의료 혁신 모형을 보다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시범 시행 및 평가를 전담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출처] 2022년 보건의료 정책 전망과 과제
■ 본론
1. 우리나라의 재난 안전사고 분석
1) 코로나 바이러스 분류 및 특성
(1) 개요
코로나 바이러스(CoV)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서 유전자 크기 27~32kb의 RNA 바이러스
(2) 분류
코로나 바이러스과에는 4개의 속(알파, 베타, 감마, 델타)이 있음
- 알파 · 베타 : 사람과 동물에게 감염
- 감마 · 델타 : 동물에게 감염
(3) 형태
형태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명명과 같이 전자현미경 관찰시 구형
- 외부 spike 단백질이 특징적인 크라운형태
(4) 사람감염 코로나 바이러스
사람감염 코로나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6종류가 알려져 있음
- 감기를 일으키는 유형: 229E, OC43, NL63, HKU1
- 중증폐렴을 일으킬 수 있는 유형: SARS-CoV, MERS-CoV
<중 략>
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정보
(1) 진단기준
- 환자 : 임상양상에 관계없이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된 자
-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 코로나19 유전자(PCR) 검출, 바이러스 분리
(2) 전파경로
- 주된 전파경로는 감염자의 호흡기 침방울(비말)에 의한 전파
참고 자료
강희정. (2022). 2022년 보건의료 정책 전망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022(1), 6-24.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BD%94%EB%A1%9C%EB%82%98%EB%B0%94%EC%9D%B4%EB%9F%AC%EC%8A%A4%EA%B0%90%EC%97%BC%EC%A6%9D-19/%EA%B5%AD%EA%B0%80%EB%B3%84%20%EB%8C%80%EC%9D%91/%EC%95%84%EB%A9%94%EB%A6%AC%EC%B9%B4/%EB%AF%B8%EA%B5%AD
https://namu.wiki/w/%EC%BD%94%EB%A1%9C%EB%82%98%EB%B0%94%EC%9D%B4%EB%9F%AC%EC%8A%A4%EA%B0%90%EC%97%BC%EC%A6%9D-19/%EA%B5%AD%EA%B0%80%EB%B3%84%20%EB%8C%80%EC%9D%91/%EC%95%84%EC%8B%9C%EC%95%84/%EC%9D%BC%EB%B3%B8
국민재난안전포털: http://www.safekorea.go.kr/idsiSFK/neo/main/main.html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index.es?sid=a2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https://www.cdc.gov/coronavirus/2019-ncov/php/infection-control.html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코로나 19 관련 OECD 주요국 보건의료 대응 현황
MIDS, 코로나19에 따른 국가별 긴급정책 및 의료기기 산업전망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_대응_지침(지자체용)_제12판pdf
‘숙련된 간호사 확보해야 감염병 막는다’: http://www.whosaeng.com/119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