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욱編,『京印 古小說板刻本全集』5권, 延世大人文科學硏究所, 1973.
· 金富軾,『三國史記』(影印本), 京仁文化社, 1987.
· 김성배,『한국의 금기어·길조어』, 정음사, 1975.
· 김종권, 『고려사완역』, 범조사, 1965.
·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第24,25冊,
· 1993. 1994.
· 民族文化硏究所, 舊活字本 古小說全集 1권-8권, 仁川大學敎 , 1983.
· 서울特別市史編纂委員會,『서울 六百年史-민속편-』, 서울특별시,
· 1988.
· 李奎補,『東國李相國集』, 韓國文集編纂委員會編, 京仁文化社, 1983.
· 一然 ,박성봉 고경식 譯,『三國遺事』, 서문문화사, 1985.
· 張健, 鄭傳寅 註編, 『中國民俗辭典』, 民俗苑 , 1988.
· 진성기,『남국의 금기어 연구』, 제주민속문화연구소, 1972.
· 최래옥,『한국 민간속신어 사전』, 집문당, 1995.
· 韓國學硏究所編,『活字本 古典小說全集』1권 - 12권, 東國大, 1976.
· 韓國文化象徵事典編纂委員會編,『韓國文化상징사전』1.2, 동아출 판사. 1995.
· 『흥부전』, 한국고전문학전집4, 양우당, 1977.
· 김경섭,「속신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논문, 1996. 김신원,「고소설의 태몽고찰」,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2.
· 문홍세,「태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74.
· 민진국,「고대소설에 나타난 태몽연구」,조선대학교 석사논문, 1984.
· 2. 일반논문
· 곽진석,「한국속신의 구조와 그 소설적 기능-이청준의 「석화촌」을 대 상으로-」,『서강어문』2집, 1982.
· 김선풍,「한국인의 인생관, 종교관, 우주관이 어우러진 금기풍속」,『한국 인』, 1990.2.
· 김성배 ,「한국의 금기어고」,『국어국문학』25. 26호, 1962.
· -----, 「금기속신의 현대적 고찰」,『김사엽박사회갑논총』, 1973.
· 김승찬, 허영순,「부산지방의 産前俗」,『민속학회』3호, 1970
· 김열규,「속신과 신화의 서정주론」,『서강어문』2집, 1982.
· -----,「<민중의 문>들에 관한 試論」,『한국인의 생활의식과 민중예 술』대동문화 연구총서II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3.
· 김영돈외,「금기담」,『한국학보』제4집, 제주대학교 국어국문학회,1972.
· 김일환,「속담과 금기어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보건위생관」, 대구교대논 문집, 1992.
· 김종택,「속언의 성격과 유형-속언의 유개념 설정을 위하여-」,『청계 김사엽박사송수기념논총』, 1973.
· ---- ,「속언을 통해 본 한국인의 의미구조」,『최정여박사송수기념논 총』, 계명대출판부, 1983.
· 김태곤,「한국의 민간신앙 1, 2, 3」,『예술계』13호- 15호, 1986.
· -----,「각종 금기를 통해 본 한국인의 심층심리」,『광장』, 1988.5.
· ------,「민간신앙」,『한국민속학』제23호, 1990.9.
· 김형주,「부안지방의 토속어」, 『전라문화연구』창간호, 전북향토문화연
· 구소, 1979.2.
· 문효근,「한국의 금기어」,『인문과학』8,9집, 연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