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소형선박 구조 재료(강, 알루미늄, FRP), 철의장품 재료(스테인리스 스틸, 청동,모넬,황동-니켈), 인테리어 재료(목재, 직물(패브릭), 폼, 석재, 유리, 단열재) 등 재료 전반에 대하여 논한다.목차
1 해양구조재료(Marine Structural Material)1.1 개요
1.2 선박구조설계(Structural Design)
1.3 해양 구조용 강(Marine Structural Steel)
1.4 알루미늄(Aluminum)
1.4.1 개요
1.4.2 알루미늄의 역사
1.4.3. 알루미늄 합금의 호칭 방법
1.4.4 알루미늄 합금 계열별 특성
1.4.5 주요 알루미늄 합금의 화학 성분
1.4.6 알루미늄의 기계적, 물리적 성질
1.4.7 알루미늄 장점
1.5 티타늄(Titanium)
1.6 FRP(Fiber-Reinforced Plastics)
1.5.1 개요
1.5.2 복합재료
1.5.3 역사와 발전 단계
1.5.4 적용 분야
1.5.5 복합재료 구성
1.5.6 강화재(Reinforcements)
1.5.7 기지재(Matrix Materials)
1.5.8 수지 첨가제(Resin additives)
1.5.9 샌드위치 구조(Sandwich Structures)
2. 금속 하드웨어 재료(Metal Hardware Material)
2.1 고강도 해양금속-스테인리스 스틸
2.1.1 STS 302 and 304
2.1.2 저탄소 스테인리스(Low-Carbon Stainless)
2.1.3 특수 스테인리스강
2.2 고 내식성을 가진 고강도 재료
2.2.1 청동(Bronze)
2.2.2 주조 청동 및 아연(Cast Bronzes and Zinc)
2.2.3 가짜 청동 (Fake Bronze)
2.2.4 모넬금속(Monel metal)
2.2.5 Copper-Nickel
2.2.6 인코넬과 하스탈로이 C (Inconel and Hastalloy C)
3 목재(Wood)
3.1 개요
3.2 목재의 종류
3.2.1 분류기준에 따른 종류
3.2.2 활엽수와 침엽수
3.3 용도에 따른 목재의 쓰임
3.3.1 구조재
3.3.2 내장재
3.3.3 외장재
3.4 하드우드(Hard Wood)
3.4.1 티크우드(Teak)
3.4.2 느티나무(Zelkova Serrata MAKINO)
3.4.3 단풍나무(Maple)
3.4.4 흑단(Ebony)
3.4.5 멀바우(Merbau)
3.4.6 물푸레나무(Ash Tree)
3.4.7 고무나무(Rubber)
3.4.8 참나무(Oak)
3.4.9 오리나무(Alder)
3.4.10 양벚나무(Cherry)
3.4.11 호두나무(Walnut Tree)
3.4.12 아카시아(Acacia)
3.4.13 참죽나무(Toona Sinensis)
3.4.14 로즈우드(Rose Wood)
3.4.15 자작나무(Birch)
3.4.16 라왕
3.4.17 마호가니(Mahogany)
3.4.18 너도밤나무
3.5 소프트 우드(Soft Wood)
3.5.1 삼나무(Japanese Cedar)
3.5.2 편백나무(Hinoki Cypress)
3.5.3 가문비나무(Picea Jezpensis)
3.5.4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3.5.5 미송나무(Hemlock)
3.5.6 레드파인(Red Pine)
3.5.7 옐로우파인
3.5.8 뉴송나무(Radiata Pine)
3.5.9 잦나무(Korean pine, 홍송)
3.5.10 사서나(러시아 홍송)
3.5.11 더 글라스
3.5.12 스프러스(Spruce)
3.5.13 고무나무
3.5.14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3.6 가구용 원목
3.7 공학목재
3.7.1 개요
3.7.2 합판
3.7.3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3.7.4 OSB (Oriented Strand Board)
3.7.5 PB(Particle Board)
3.7.6 PSL (Parallel Strand Lumber)
3.8 Yacht Interior 예
4 직물(Fabric)
4.1 원료와 실
4.1.1 식물 섬유 : 전통적인 면화와 마
4.1.2 동물섬유 - 양모(wool)
4.1.3 소재의 성질
4.1.4 10가지의 섬유 소재
4.1.5 실의 굵기
4.2 직물의 종류와 특성
4.2.1 직물의 분류
4.2.2 직물의 조직
4.2.3 직물의 특성
4.2.4 직물 선택 시 고려 사항
4.2.5 소재 별 다루는 법
4.3 해양 직물(Marine Fabric)
4.3.1 해양 직물의 다양한 응용
4.3.2 일반적인 해양 직물 브랜드
4.3.3 해양 비닐 가구용 직물; 보트 캔버스 및 비미니 탑용 직물
4.3.4 Sunbrella 해양 보트 캔버스 패브릭 청소 방법
4.4 조종석 대 캐빈 쿠션 패브릭 선택
4.4.1 조종석 패브릭
4.4.2 선실 패브릭
4.4.3 마린 인테리어 쿠션을 위한 최고의 패브릭
4.4.4 조종석 쿠션
4.4.5 살롱 쿠션
4.4.6 보트 내부 커튼
4.5 지퍼
4.6 실
5 인테리어용 폼(Foam)
5.1 폼 용어
5.2 폼 종류
5.3 해양 외부(exterior) 폼
5.4 해양 인테리어(interior) 폼
5.5 실내 소파 및 의자 폼
5.5 쿠션랩 실크필름
6 석재(Stone)
6.1 석재의 종류
6.1.1 마그마로 굳어진 작품 화성암
6.1.2 오랜 시간 쌓이고 쌓여 만든 퇴적암.
6.1.3. 열과 압력으로 의해 변형된 변성암
6.1.4 자연을 모사하다, 인조석
6.2 인테리어 공간을 위한 천연석
6.2.1 주방용 화강암 (granite)
6.2.2 욕실용 대리석 (marble)
6.2.3 거실용 규암 (quartzite)
6.2.4 개인 서재를 위한 정판암 (slate)
6.2.5 침실용 석회석 (limestone)
7 유리(Glass)
7.1 개요
7.2 유리의 성분
7.2.1 용융-석영 유리(fused-quartz glass)
(용융-실리카 유리(fused-silica glass)
7.2.2 소다-석회 유리(soda-lime glass) (창유리)
7.2.3 붕산-소듐 유리(sodium-borosilicate) (파이렉스(Pyrex))
7.2.4 납-산화물 유리(lead-oxide glass) (납 유리)
7.2.5 알루미나-실리케이트 유리(alumino-silicate glass)
7.3 특성
7.3.1 광학적 특성
7.3.2 기타 특성
7.4 구조
7.5 유리의 종류
7.5.1 강화 유리
7.5.2 방탄유리
7.5.3 접합유리 - 안전유리
7.5.4 간유리
7.5.5 복층유리
7.5.6 발열유리
7.5.7 방화유리
8 단열재(Insulation)
8.1 개요
8.2 단열의 성능 기준 지표
8.3 단열재 등급에 따른 분류
8.4 제작공법별 단열재 종류
8.4.1 압출법 및 비드법
1) 비드법 보온판 1종 (EPS, Extended Polystyrene Sheet)
2) 비드법 보온판 2종
3) 압출법 단열재(XPS, 아이소핑크)
4) 경질 단열재(경질폴리우레탄 보드)
8.4.2 울(Wool, 털)
1) 그라스울(Glass Wool, 유리섬유)
2) 미네랄울(Mineral Fiber)
3) 양모울(Sheep Wool)
8.4.3 섬유질 단열재(Cellulose Insulation)
8.4.4 수성 연질폼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어• 벽개 파단(cleavage fracture) - 결정체에 있어서는 어느 특정한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단히 파괴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으며, 이것을 벽개면이라고 부르지만, 파단 될 때 벽개면에 의한 균열이 주된 역할을 하는 것을 벽개 파단이라고 한다.
• 연성 (ductile) - 금속 재료가 탄성한도 이상의 인장력에 의해서 파괴되는 것이 아니라 늘어나 소성변형을 하는 성질.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금속 재료일수록 연성이 크고 동일의 재료에서는 고온으로 갈수록 연성이 크게 된다. 연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서는 인장 시험의 신율이 사용되고 있다.
• 연성 파괴(ductile fracture)- 큰 소성 변형을 수반하는 파괴의 총칭. 재료가 외력에 의해 소성 변형(영구 변형)을 일으켜서 파괴되는 것을 말한다. 재료에 하중을 가하면 먼저 탄성 변형이 일어나고 하중을 더 크게 하면 하중을 없애도 변형이 남는 소성 변형을 수반하게 되어 결국은 파괴된다. 파괴될 때까지의 소성 변형양은 재료나 시험편의 형상, 응력의 조건이나 환경 온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파괴에 이를 때까지의 소성 변형양이 큰 경우를 연성 파괴라 한다.
• 잔류 응력(residual stress) - 외력을 제거 한 후 재료 내부에 존재하는 응력. 냉간 가공이나 담금질, 용접 등에 의한 불균일 소성변형의 결과 때문에 생긴다. 잔류응력에는 인장 잔류 응력(residual tension stress)과 압축 잔류 응력(residual compression stress)의 두 가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인장 잔류 응력은 표면에 압축 잔류 응력이 나타나고 내부에는 인장 잔류 응력을 발생한다.
변태로 인해 생기는 응력은 이와 반대로 표면에는 인장력이 나타나고 내부에는 압축 잔류 응력이 발생한다.
• 취성(brittleness) - 재료가 외력에 의하여 영구 변형을 하지 않고 파괴되거나 극히 일부만 영구 변형을 하고 파괴되는 성질.
인성(靭性)과 반대되는 성질로 항력이 크며 변형 능력이 적다.
참고 자료
ALCAN, “Aluminum and the Sea” , ALCAN Aerospace Transportation and Industry, 2004john G. kingdon, “Marine Aluminum Design and Construction ”, Westlawn Institute of Marine Technology, 1990.
DNV, “Rules for classification of high speed, light craft and naval surface craft.” 2011
Eurocode 9 : “Design of Aluminum Structures”. Standard EN, ENV 1999-1-1, 1998
john G. kingdon, Marine Aluminum Design and Construction, Westlawn Institute of Marine Technology, 1990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Aviation Maintenance Technician Handbook-Ch.7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2012
U.S. Department of Defense , Composite Materials Handbook Volume 1. Polymer Matrix Composites Guidelines for Characterization of Structural Materials, 2002
Norman Nudelman, Principles of Fiberglass Boat Design and Construction, Westlawn Institute of Marine Technology, 1990.
Eric Greene, Marine Composites, Eric Greene Associates, Inc. 1999
Dave Gerr, High-Strength Marine Metals-Part 1 Stainless Steel, Gerr Marine, 2009
Dave Gerr, High-Strength Marine Metals-Part 2 Copper & Nickel Alloys, Gerr Marine, 2009
Helen Bowers, Interior Materials & Surfaces, The Complete Guide, Firefly Books, 2005
Hanse Yachts Colour Card 2020 & 2021
X-Yachts Xc38 Brochure, 2018
최부근, 알루미늄 장점 및 피로 거동 설계, BKC Yacht Design, 2018
최부근, 복합재료 구성 및 제조 공정 장단점, BKC Yacht Design, 2018
Sunbrella fabrics https://global.sunbrella.com/
Sailrite Enterprises Inc. How-To-Projects-Guides/Selection-Guides
J. Gibson McIlvain Co https://www.mcilvain.com/
CK MAKERS LAB 소프트 우드 하드 우드
서울특별시교육청, 꿈을 담은 메이커 교실-목공편, 2019
한국자원광물공사 홈페이지,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
CUPA STONE, 5 natural stones for 5 interior spaces in your house. 2019
정암안전유리
한글라스
서울특수유리
영광판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