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PFAS 위해성평가보고서 (서울대, 고려대)

"PFAS 위해성평가보고서 (서울대, 고려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17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2.12.20 최종저작일 2022.12
17P 미리보기
PFAS 위해성평가보고서 (서울대, 고려대)
  • 미리보기

    소개

    "PFAS 위해성평가보고서 (서울대, 고려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 배경

    2. 연구 방법
    1) 독성 조사
    2) 노출 평가
    3) 위해성평가

    3. 결과
    1) 노출평가
    2) 위해성평가

    4. 고찰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연구 배경
    ‘Emerging chemicals of concern’으로 주목받고 있는 과불화화합물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은 화장품, 식품 포장재 같은 산업과 소비자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PFAS는 소수성이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이러한 PFAS의 특성은 제품의 지속력과 발림성을 좋게 하기 때문에 화장품에 유화제, 정전기 방지제, 안정제, 계면 활성제 등으로 자주 쓰인다. 2021년 환경운동연합과 노동환경건강연구소가 국내 화장품 내 PFAS 분석 및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한 20개 제품 중 총 10개의 화장품에서 다양한 PFAS 종들이 검출되었는데, 립 메이크업 제품에는 PFHxA가, 자외선 차단제에는 PFHxA, PFHpA, PFPeA, PFOA 등 4종의 PFAS가, 컨실러와 같은 베이스 제품에서는 PFHxA, PFOA, PFDA, PFHpA, PFTeDA 등 총 5종의 PFAS가 검출되었다 (유민정, 2021).

    참고자료

    · Brinch, anna & Jensen, Allan & Christensen, Frans. (2018). Risk assessment of fluorinated substances in cosmetic products. Survey of chemical substances in consumer products No. 169.
    · Danish, E. P. A. (2018). Risk assessment of fluorinated substances in cosmetic products. Survey of chemical substances in consumer products,(169)
    · Fasano, W. J.; Kennedy, G. L.; Szostek, B.; Farrar, D. G.; Ward, R. J.; Haroun, L.; Hinderliter, P. M. Penetration of ammonium perfluorooctanoate through rat and human skin in vitro. Drug Chem. Toxicol. 2005, 28, 79–90
    · Fenton, S. E., Ducatman, A., Boobis, A., DeWitt, J. C., Lau, C., Ng, C., ... & Roberts, S. M. (2021). Per‐and polyfluoroalkyl substance toxicity and human health review: Current state of knowledge and strategies for informing future research.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40(3), 606-630
    · Fujii, Y., Harada, K. H., & Koizumi, A. (2013). Occurrence of perfluorinated carboxylic acids (PFCAs) in personal care products and compounding agents. Chemosphere, 93(3), 538-544
    · Loretz, L. J., Api, A. M., Barraj, L. M., Burdick, J., Dressler, W. E., Gettings, S. D., ... & Sewall, C. (2005). Exposure data for cosmetic products: lipstick, body lotion, and face cream.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3(2), 279-291.
    · Steenland, K., Hofmann, J. N., Silverman, D. T., & Bartell, S. M. (2022). Risk assessment for PFOA and kidney cancer based on a pooled analysis of two studies. Environment International, 167, 107425.
    · Tokumura, M., Nitta, S., Hayashi, T., Yamaguchi, R., Wang, Q., Miyake, Y., ... & Makino, M. (2020). Probabilistic exposure assessment of aggregate rates of dermal exposure of Japanese women and children to parabens in personal care products. Chemosphere, 239, 124704.
    · Toxicological Profile for Perfluoroalkyls (cdc.gov)
    · Whitehead, H. D., Venier, M., Wu, Y., Eastman, E., Urbanik, S., Diamond, M. L., ... & Peaslee, G. F. (2021). Fluorinated compounds in North American cosmetic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Letters, 8(7), 538-544
    · http://www.chemic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70, “국내 화장품에 사용되는 PFAS, 121종 확인..."관련 규제·안전 기준 필요",유민정,2021
  • AI와 토픽 톺아보기

  • 자료후기

      Ai 리뷰
      화장품 내 PFAS에 대한 국내외 실태조사 결과를 종합하고, PFHxA와 PFOA의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데이터 부족 등 불확실성이 있지만, 현재로서는 화장품을 통한 PFAS 위해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