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문제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2.11.03 최종저작일 2020.12
5P 미리보기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문제
  • 미리보기

    소개

    "남한사회 적응과정에서 북한이탈여성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1) 북한이탈주민 현황
    2)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문제
    3)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관리 및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실태

    3. 연구 질문 및 방법
    1) 연구질문
    2) 연구방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연구목적 및 필요성
    통일부의 『2019 통일백서』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의 입국추세는 2012년 이후부터 연간 1500명대를 유지하며 2018년 12월 말 기준 총3만2476명에 이르고 있다. 성별에 따른 북한이탈주민의 비율은 2010년 이후 70% 이상이 여성이었으며, 2018년 전체 북한이탈주민 1137명 중 여성은 969명으로 전체 탈북자 중 85%를 차지하며, 탈북여성의 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입국자들의 평균 연령은 20~39세 사이로 전체 탈북자의 57%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늘어나면서 그들이 입국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나 남한 정착 과정에서 겪는 각종 어려움들은 더 이상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사회적, 국가적 문제로 이슈화 되고 있다(Han et al, 2015; 105). 특히 국내로 입국하는 다수의 북한이탈주민은 재북(在北)시부터 질병 치료에 대한 의료체계 부재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절한 치료를 제공받지 못했고, 여기에 탈북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중국에서의 불안정한 생활, 북송에 대한 두려움이나 불안으로 인한 심리적 트라우마)이 더해지면서 심신의 건강문제를 호소하고 있다. 2007년 입국한 500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한 연구에 따르면 2%가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6.6%가 부분적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진단되었고, 약 48%가 우울 및 불안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et al., 2001).

    참고자료

    · 강동완, 2018.“북한이탈주민의 사회 적응과 정착 지원 방안”『정치정보연구』21(2): 185-205.
    · 권향원, 2016. “근거이론의 수행방법에 대한 이해: 실천적 가이드라인과 이론적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20(2): 181-216.
    · 김갑선, 2020.“사회과학분야 박사학위자의 질적 연구 경험”『문화와 융합』42: 847-871.
    · 김연희, 2004. “제1분과 : 북한이탈주민의 정신보건을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1-104
    · 김희경, 2010. “탈북 여성의 방어기제와 정신건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1): 155-173
    · 남북하나재단, 『2019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 문숙재·김지희· 이명근, 2000. “북한 여성들의 탈북동기와 생활실태-중국 연변지역의 탈북 여성들을 중심으로”『대한가정학회지』38(5): 137-152
    · 민하주·정형선·김선미, 2015. “북한의 보건의료시스템과 그 이용실태에 대한 질적 연구: 2010 년대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사회보장연구』31(4): 53-81.
    · 박태정 · 이서영 · 박형원, 2020,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노인보호전문기관의 기능에 대한 질적연구”『한국노년학』40: 761-779.
    · 백영옥, 2002.“중국 내 탈북 여성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북한연구학회보』6(1): 241-264.
    · 엄태완·이기영, 2004. “북한이탈 주민의 우울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정신건강과 사회복지』18: 5-32.
    · 윤여상, 2001. 『북한이탈주민의 적응과 부적응』대구: 도서출판 세명.
    · 이소희, 2015.“탈북민 보건 의료 이용 현황 및 통일 대비 과제”『북한연구학회 주최 세계북한학대회 학술회의 발표논문집』
    · 이수형 외, 2018.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통합적 지원 체계화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18-25-01 정책보고서.
    · 이숙영·이동혁·조해연·김경미·김효정, 2016. “북한이탈여성의 외상후성장에 관한 질적 연구”『1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28(4): 1073-1102.
    · 전우택, 1999. “남한에 있는 탈북자들의 심리적 갈등구조 및 그에 대한 해결방안”『통일연구원 학술회의 총서』.pp. 40-64.
    · 조영아·김연희·유시은, 2009. “남한 내 7 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21(1):329-348.
    · 채정민·김종남, 2004. “북한이탈주민의 상대적 박탈감과 심리적 적응: 개인적 정체감과 사회적 정체감의 영향을 중심으로”『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18(1): 41-63.
    · 통일부 『2019 통일백서』북한이탈주민 입국동향, p. 205
    · 통일부, 2020. 『2020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편람』.
    · 한나영·이소희·유소영·김석주·전진용·원성두·신미녀, 2015.“북한이탈주민진료센터 정신건강의학과를 내원한북한이탈주민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사회 적응 및 삶의 질 관계” 『신경정신의학』54(1): 105-111.
    · 한유리. 2015. 『질적연구입문』. 박영story. pp.61.
    · 한유리. 2017.『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자료 분석 가이드』. 박영story.
    · 홍미연, 2020, “치매 노인 안전 돌봄에 관한 질적연구”『인문사회』 21, 11(5): 2273-2286.
    · Kim, H. H., Lee, Y. J., Kim, H. K., Kim, J. E., Kim, S. J., Bae, S. M., and Cho, S. J. 2011.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sychiatric symptoms in North Korean defectors.” Psychiatry investigation, 8(3), 179.
    · Kreitler, S., and Kreitler, M. M. 2006. “Multidimensional quality of life: A new measure of quality of life in adul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76(1), 5-33.
    · Lee, Y., Lee, M. K., Chun, K. H., Lee, Y. K., and Yoon, S. J. 2001. “Trauma experience of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3), 225-229.
    · Lee, Y. J. G., Jun, J. Y., Lee, Y. J., Park, J., Kim, S., Lee, S. H., ... and Kim, S. J. 2016. “Insomnia in North Korean refugees: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sychiatry investigation, 13(1), 67.
    · Lincoln, Y. S. and E. G. Guba.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 McKenzie, D. J., and Mistiaen, J. 2009. “Surveying migrant households: A comparison of census-based, snowball and intercept point survey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Statistics in Society), 172(2), 339–360.
    · Sang Ok, K. 2020.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Loss and Trauma, 25(4), 301-321.
  • 자료후기

      Ai 리뷰
      북한이탈여성의 남한 정착과정에서 겪는 정신건강 문제와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판매자 설정표지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