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터에 의한 측정, 수동소자(RLC)의 규격 판독법
- 최초 등록일
- 2022.09.11
- 최종 저작일
- 2022.03
- 9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2,500원

소개글
"멀티미터에 의한 측정, 수동소자(RLC)의 규격 판독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1. 멀티미터에 의한 측정
2. 실험 2. 수동 소자 (R, L, C)의 규격 판독법
본문내용
3. 결과분석 및 토의
- 결과분석 과정 (1) 저항 측정
6개 저항들의 측정치를 계산하기 위해 색에 의한 저항 판독을 통해 키트 내의 저항들 중 해당 저항기들을 골라내었다. 이후, Measurement Settings를 저항으로 설정하고 NI myDAQ의 Ohm단자와 COM단자에 각각 리드를 연결하여 초기 설정을 해주었다. Range는 해당 저항기의 값보다는 조금 크게 설정하였다. 각각의 저항기를 브레드보드에 연결한 후 프로브를 저항의 양단에 대어 저항값을 측정하였다.
색에 의한 저항 판독을 통해 6개의 저항기의 색을 판단하여 보면, 330Ω은 [주/주/갈/금], 560Ω은 [초/파/갈/금], 2.2kΩ은 [빨/빨/빨/금], 1kΩ은 [갈/검/빨/금], 5.1kΩ은 [초/갈/빨/금], 10kΩ은 [갈/검/주/금]의 색을 띰을 확인할 수 있다.
<중 략>
3. 결과분석 및 토의
- 검토사항 (1) 실험순서 ②에서 판독한 저항을 계산한 과정을 적으시오.
실험순서 ②에서는 실험순서 ①에서 판독한 저항 3개 중에서 2개를 골라 진행하였다. 기초전자공학실험 강의자료 2주차 p34의 ‘색에 의한 저항 판독’ 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판독한 저항을 계산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서 사용된 저항기는 4색띠이므로 첫 번째 색과 두 번째 색은 유효 숫자가 되고, 세 번째 색은 곱수가 되고 네 번째 색은 허용 오차가 된다. 예를 들어 1은 [노란색 / 보라색 / 갈색 / 금색]을 순서대로 띠고 있었으므로 강의자료의 표를 이용하면 470Ω임을 알 수 있다. 실제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해 실험 1의 과정 (1)의 방식을 이용하였고, 그 결과 468Ω의 측정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오차가 0.43%로 허용 오차 범위인 5% 미만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2의 저항값을 계산한 결과 이론값은 560Ω이고, 실험 1의 과정 (1)의 방식을 이용하면 측정치는 559Ω이 되어 0.18%의 오차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오차 역시 허용 오차인 5% 미만임을 알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