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치준승21권, 울, 월국환,기울탕, 습울탕, 혈울탕, 열울탕, 비, 대황황련사심탕, 부자사심탕, 생강사심탕, 이윤감초사심탕, 황기보중탕, 대소비환,황련소비환, 실소환.hwp
- 최초 등록일
- 2022.08.11
- 최종 저작일
- 2022.08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治傷寒中風, 醫反下之, 其人下利日數十行, 米穀不化, 腹中雷鳴, 心下痞硬而滿, 乾嘔心煩不安, 醫見心下痞, 謂病不盡, 復下之, 其痞益甚.
*痢의 원문은 利이다
상한병 중풍에 의사가 반대로 사하하고 사람이 하루에 몇십번 하리하고 쌀 곡식이 소화되지 않음, 배속에 우레처럼 울음, 심하가 답답하고 단단하고 그득함, 건구와 심번으로 불안, 의사가 보니 심하비로 병이 다하지 않는다고 하며 다시 사하하니 속 답답함이 더욱 심해짐을 치료한다.
此非結熱, 但以胃中虛, 客氣上逆, 故使硬, 宜此湯治之。
이는 결체한 열이 아니라 단지 위속이 허하고 객기가 위로 상역하므로 단단하게 함에 이윤감초사심탕으로 치료한다.
甘草(二兩) 半夏(一兩) 黃芩 乾薑(各三兩半) 黃連 人參(各半兩) 大棗(六枚)
감초 80g, 반하 40g, 황금, 건강 각 140g, 황련, 인삼 각 20g, 대추 6매
右七味, 以水五斤, 煮取三斤, 去滓, 再煎取一斤半, 溫服半斤, 分三。
升의 원문은 모두 斤이다
위 7약미를 물 5되를 달여 3되로 만들어 찌꺼기를 제거하고 재차 1되반으로 달여 온난하게 반되로 복용하길 3번 나누어 복용한다.
半夏瀉心湯
반하사심탕
治心下滿而不痛者, 痞也, 痛卽爲結胸。
반하사심탕은 심하가 답답하고 아프지 않아 속이 답답하고 통증이면 결흉이 됨을 치료한다.
半夏(半斤, 泡) 黃芩 乾薑 人參(各三兩) 黃連(一兩) 甘草(炙, 二兩) 大棗(十二枚)
升의 원문은 斤이다
끓는 물에 담근 반하 300g, 황금, 건강, 인삼 각 120g, 황련 40g, 자감초 80g, 대추 12매
右七味, 以水一斗, 煮取六升, 去滓, 再煮取三升, 分溫三服。
위 7약미를 물 1말을 달여 6되를 만들어 찌꺼기를 제거하고 재차 달여 3되를 만들어 3으로 나눠 온난하게 복용한다.
錢氏瀉心湯(見發熱。)
전씨사심탕 발열이 나타난다.
黃芪補中湯(東垣)
황기보중탕 이동원
黃芪 人參(各二錢) 甘草 白朮 蒼朮 陳皮(各一錢) 澤瀉 猪苓 茯苓(各五分)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