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증치준승20권, 유방, 학질, 사수탕, 치장목향환, 관음환, 청비음, 초과음, 칠조탕, 구학음, 시박탕, 가미향유음, 교가쌍해음자, 웅황산, 별갑전환, 학모환, 별갑음자, 벽하단, 궁귀별갑음, 사장군음, 거학음, 궐, 삼기익기탕, 궁귀양영탕, 사역탕, 환혼탕.hwp

1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2.08.11 최종저작일 2022.08
11P 미리보기
증치준승20권, 유방, 학질, 사수탕, 치장목향환, 관음환, 청비음, 초과음, 칠조탕, 구학음, 시박탕, 가미향유음, 교가쌍해음자, 웅황산, 별갑전환, 학모환, 별갑음자, 벽하단, 궁귀별갑음, 사장군음, 거학음, 궐, 삼기익기탕, 궁귀양영탕, 사역탕, 환혼탕.hwp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증치준승20권, 유방, 학질, 사수탕, 치장목향환, 관음환, 청비음, 초과음, 칠조탕, 구학음, 시박탕, 가미향유음, 교가쌍해음자, 웅황산, 별갑전환, 학모환, 별갑음자, 벽하단, 궁귀별갑음, 사장군음, 거학음, 궐, 삼기익기탕, 궁귀양영탕, 사역탕, 환혼탕.hwp

    목차

    1.사수탕
    2.치장목향환
    3.관음환
    4.청비음
    5.초과음
    6.칠조탕
    7.구학음
    8.후박탕
    9.가미향유음
    10.교가쌍해음자
    11.웅황산
    12.별갑전환
    13.학모환
    14.별갑음자
    15.벽하단
    16.궁귀별갑음
    17.사장군음
    18.거학음
    19.궐
    20.삼기익기탕
    21.궁귀양영탕
    22.사역탕
    23.반혼단

    본문내용

    八味丸(益火之原, 以消陰翳。並見虛勞。)
    陰翳 :하늘에 구름이 덮여 어두움
    팔미환 화의 근원을 더해 음예를 소멸하게 하니 허로에서 나타난다.
      
    四逆湯
    사역탕

    治陰證脈沈, 身痛而厥。
    사역탕은 음증의 침맥, 신체통증과 궐역을 치료한다.
    甘草(炙, 二兩) 乾薑(一兩半, 炮) 附子(一枚, 去皮, 破八片, 生用)
    자감초 80g, 구운 건강 60g, 껍질 제거하고 8조각으로 나눠 생으로 쓴 부자 1매
    右㕮咀, 以水三升, 煮取一升二合, 去滓, 分溫再服。
    위 약제를 콩알 크기로 씹어 물 3되를 1되2홉으로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나눠 따뜻하게 두 번 복용한다.
    强人可大附子一枚, 乾薑三兩。
    강한 사람은 대부자 1매, 건강 120g을 사용할 수 있다.

    白虎湯(見發熱。)
    백호탕 발열에서 나타난다.
      
    升陽泄火湯(一名補脾胃瀉陰火升陽湯)
    승양설화탕 일명 보비음사음화승양탕
    羌活 黃耆 甘草(炙) 蒼朮(米泔浸, 去黑皮, 切片曝乾, 剉碎秤。各一兩) 人參 黃芩(各七錢) 柴胡(一兩半) 黃連(去鬚, 酒製, 半兩) 升麻(八錢) 石膏(少許, 長夏微用, 過時去之, 從權)
    *從權 :그때그때의 형편(形便)에 따라 알맞게 변통(變通)함
    강활, 황기, 자감초, 쌀뜨물에 담가 흑색 껍질 제거하고 절편으로 햇볕에 말려 썰어 분쇄해 저울에 단 창출 각 40g, 인삼, 황금 각 28g, 시호 60g, 수염 제거하고 술로 법제한 20g, 승마 32g, 조금을 음력 6월 약간 사용하며 시간 지나면 버리는 임시변통하는 조금의 석고
    右㕮咀, 每服秤三錢, 水二盞, 煎至一盞, 去滓, 大溫服, 早飯後, 午飯前, 間日服。
    위 약제를 콩알 크기로 씹어 매번 12g을 물 2잔을 1잔이 될 때까지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매우 온난하게 복용하며 조반을 먹은 뒤에 1일 간격으로 복용한다.
      
    大柴胡湯(見瘧。)
    대시호탕 학질에서 나타난다.
    附子理中湯(見中寒。)
    부자이중탕 중한에서 나타난다.
    理中湯(見勞倦。)
    이중탕 노권에서 나타난다.
    滋腎丸(見小便不通。)
    자신환 소변불통에서 나타난다.
    旣濟解毒湯(見上熱下寒。)
    기제해독탕 상열하한에서 나타난다.
    大承氣湯(見大便不通。)
    대승기탕 대변불통에서 나타난다.

    加減白通湯(《寶鑒》)
    가감백통탕 보감
    治形寒飲冷, 大便自利, 完穀不化, 臍腹冷痛, 足胻寒而逆。
    胻(배, 정강이 행; ⾁-총10획; háng,xíng)
    가감백통탕은 형체가 차고 찬물을 마시며 대변이 저절로 하리하고 완곡이 소화되지 않고 배꼽과 복부 찬 통증 발과 정강이가 시리고 궐역함을 치료한다.
    附子(炮, 去皮) 乾薑(炮。各一兩) 官桂(去麄皮) 甘草(炙) 草豆蔻(麪裹煨) 半夏(湯泡七次)人參 白朮(各半兩)
    구워 껍질 제거한 부자, 구운 건강 각 40g, 거친 껍질 제거한 관계, 구운 감초, 면으로 싸서 구운 초두구, 탕포를 7차례를 한 반하, 인삼, 백출 각 20gg
    每服五錢, 水二盞半, 生薑五片, 葱白五根, 煎一盞三分, 去滓, 空心宿食盡, 溫服。
    매번 20g을 물 2잔반, 생강 5조각, 총백 5뿌리를 1잔 3푼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빈속에 숙식이 다하게 온난하게 복용한다.

    참고자료

    · 흠정사고전서 자부 오 의가류 36, 대성문화사, 증치준승, 명나라 왕긍당 편찬, 페이지 76-80
    · www.imagediet.co.kr
    · www.upaper.net/homeosta
    · www.steemit.com/@imagediet
    · https://www.youtube.com/user/homeosta1
  • 자료후기

      Ai 리뷰
      이 문서는 중한, 상서, 중서, 소단, 중습, 심통, 식학, 상식, 담음, 중기, 중풍, 상음, 졸중 등 다양한 질병에 대한 처방전을 제공하고 있어 임상에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