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침, 금은화, 방풍, 당귀, 대황, 감초절, 과루인 각 같은 분량
右㕮咀, 水, 酒各半煎.
위 약제를 씹어 콩알크기로 물과 술 각 절반에 달인다.
食前溫服, 仍頻提掣頂中髮, 立效.
*提掣(끌 체{당길 철}; ⼿-총12획; chè):提携
식전에 소독음을 따뜻하게 복용하니 자주 정수리중의 모발을 당기면 곧 효과가 있다.
下疳瘡洗藥
하감창세약
黃連 黃栢 當歸 白芷 獨活 防風 朴硝 荊芥
황련, 황백, 당귀, 백지, 독활, 방풍, 박초, 형개
右等分, 水煎.
위 약제를 같은 분량을 물에 달인다.
入錢五十文, 烏梅五箇, 鹽一匙, 同煎, 溫洗, 日五七次.
돈 50문, 오매 5개, 소금 1수저를 넣고 같이 달여 온난하게 씻길 하루에 5,7번 한다.
用下藥敷:
아래약을 써 붙인다.
木香 檳榔 黃連 銅青 輕粉 枯礬 螵蛸 麝(各等分)
목향, 빈랑, 황련, 동청, 경분, 고백반, 상표초, 사향 각 같은 분량
右爲極細末, 洗後, 至夜敷上.
위 약제를 지극히 곱게 가루내어 씻은 뒤에 야간에 이르면 위에 붙인다.
法製靈雞彈
법제영계탄
治瘰癧 馬刀, 腋下生者.
법제영계탄은 나력, 마도가 액하에 생김을 치료한다.
斑猫(七箇, 去頭翅足)
머리와 날개, 다리를 제거한 반묘 7개
右將雞子一箇, 頂上敲開些小, 入藥在內, 紙封固了, 於飯上蒸熟, 取出去殼, 切開去藥, 五更空心和米飯嚼.
위 약재를 계란 1개를 가지고 꼭대기위를 두드려 조금을 열고 약을 안에 넣고 종이로 견고하게 봉하고 밥위에 쪄서 꺼내 껍질 제거하고 절개해 약을 꺼내고 5경에 빈속에 쌀밥과 같이 씹는다.
服候小便通, 如米泔水狀, 如脂, 卽驗也.
복용뒤 소변이 통하길 기다리며 쌀뜨물 모양이나 기름과 같으면 효험이 있다.
如大小便不通, 却服琥珀散三二貼催之, 然後常服後二藥, 猶佳.
만약 대소변이 통하지 않으면 호박산 2,3첩을 복용해 재촉한 연후에 항상 뒤 2약을 복용해도 좋다.
妙靈散
묘령산
服前藥後, 却將此散與連翹丸相間常服, 瘡愈方止.
묘령산은 앞의 약을 복용한 뒤에 이 묘령산과 연교환을 상호 거리를 두고 상복하길 창양이 나은뒤에 그친다.
木香(三錢) 沈香(二錢) 牛膝 何首烏 當歸 螵蛸 桑寄生(各一兩) 海藻(二兩)青葙子 昆布 海帶 甘草節(各半兩)
목향 12g, 침향 8g, 우슬, 하수오, 당귀, 상표초, 상기생 각 40g, 해조 80g, 청상자, 곤포, 해대, 감초절 각 20g
右末, 每服三二錢, 食後溫酒調下.
위 약제를 가루내어 매번 8-12g을 식후에 따뜻한 술로 조복한다.
內消連翹丸
내소연교환
連翹(三兩) 射干 白芨 夏枯草 土瓜 漏蘆 沙參 澤蘭 胡桃仁(各一兩半)
연교 120g, 사간, 백급, 하고초, 토과, 누로, 사삼, 택란, 호도인 각 60g
右末, 入桃仁研勻, 酒糊丸, 桐子大.
위 약제를 가루내어 도인을 넣고 고르게 갈아 술과 풀로 오동나무 씨 크기로 환을 만든다.
每服三五十丸, 空心食前鹽, 酒下.
매번 30-50환을 빈속에 식전에 소금, 술로 연하한다.
琥珀散
호박산
治諸般瘡癤, 表裏有熱, 小便赤澁.
호박산은 제반 창절, 표리에 열이 있고 소변이 적색으로 잘 안나감을 치료한다.
白茯苓 黃芩 茵陳 紫草 瞿麥 茅根 石韋 烏藥 琥珀 連翹 車前子.
백복령, 황금, 인진, 자초, 구맥, 모근, 석위, 오약, 호박, 연교, 차전자
右各等分, 爲極細末, 每二三錢, 燈心湯調下, 無時.
*芯(등심초 심; ⾋-총8획; xīn,xìn)의 원문은 心이다.
위 약제 각 같은 분량을 지극히 곱게 가루내어 매번 8-12g을 등심탕으로 수시로 조복한다.
《聖濟總錄》治漆瘡諸方
성제총록의 칠창 치료 여러 처방
生柳葉(三斤, 冬用皮) 煎湯, 適寒溫洗之.
겨울에는 껍질 사용하는 생버드나무 잎 1200g을 달인 탕을 춥고 더움을 조절해 씻는다.
芒硝(五兩)湯化, 浸洗之.
망초 200g을 탕으로 변화하여 담가 씻는다.
猪膏一味, 熬, 去滓停冷, 塗貼之.
돼지기름 1약미를 졸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식혀 칠창위에 칠하고 붙인다.
生螃蠏一味, 取黃塗傅, 日三五次.
*螃(방게 방; ⾍-총16획; páng) 蠏(게 해; ⾍-총19획; xiè,xiě)
*敷(펼 부; ⽁-총15획; fū)의 원문은 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