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공학실험] A+레포트 / DNA클로닝과 형질전환(Ligation and transformation) 실험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2.06.29
- 최종 저작일
- 2020.09
- 15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3,000원

소개글
"[유전공학실험] A+레포트 / DNA클로닝과 형질전환(Ligation and transformation) 실험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1) DNA 클로닝
2) 벡터
3) 형질전환
3. 준비물
1) 실험 기기
2) 재료 및 시약
4. 실험 방법
1) Ligation
2) Transformation
5. 실험 결과
6. 논의 및 고찰
1) LB 배지는 어떻게 만드는가?
2) 재조합된 플리스미드 벡터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가?
본문내용
2. DNA 재조합 과정에서 사용되는 효소
- 제Ⅱ형 제한효소 :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하여 DNA를 절단한다. - DNA ligase : 두 개의 DNA의 5’-P와 3‘-OH를 연결해준다. - Alkaline phosphatase : DNA 말단에 있는 인산기를 제거하여 self-ligation을 방지해준다. - DNA polymerase Ⅰ : DNA의 3‘말단에 뉴클레오티드의 단계적인 첨가를 일으켜 DNA를 합성한다. - 역전사효소 : RNA를 주형으로 하여 DNA 사본을 만들어낸다. - 박테리오파지 λ 핵산말단분해효소 : 단일가닥의 3‘말단을 노출시키기 위해 이중가닥의 5’말단에서 뉴클레오티드를 제거해준다. - polynucleotide kinase : DNA를 연결하거나 표지하기 위해 폴리뉴클레오티드의 5‘-OH 말단에 인산기를 첨가해준다. - 말단전달효소(terminal transferase) : 선형 이중가닥의 3‘-OH 말단에 상동중합체의 꼬리를 첨가한다. - 핵산말단분해효소 Ⅲ (exonuclease Ⅲ) : DNA가닥의 3‘-OH의 뉴클레오티드기를 제거한다.
(2) 벡터
벡터(vector)는 자신은 직접 병을 일으키지는 않으나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한 숙주에서 다른 숙주로
전달하는 생명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말라리아 병원균을 옮기는 모기가 바로 벡터이다. 분자생물학이나
유전공학에서 의미하는 벡터는 플라스미드나 박테리오파지와 같은 DNA로 세포 형질전환을 통해 특정 유전자나 DNA를 자신에게 삽입시켜 재조합 DNA를 만든 후 이것을 숙주세포로 전달하여 많은 수로 복제될
수 있도록 하거나 단백질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DNA 운반체를 의미한다. 1. 벡터의 종류
① 클로닝 벡터
클로닝 벡터는 외부 DNA를 숙주세포로 도입한 후 숙주세포 내에서 복제하여 벡터 자신의 DNA와 삽입된
외부 DNA를 많은 수의 사본으로 생산하는 벡터를 의미한다. 주로 재조합 DNA의 제작이나 염기서열 결정과 같은 목적을 위해 순수 DNA를 증식시켜 분리 및 정제를 할 때 사용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