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미란‧이경훈, “노인의 AGING IN PLACE 증진을 위한 종합지원센터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4(5), 2018.
· 노기현, “노인복지행정에 있어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검토”,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 54(4), 2013.
· 4차산업혁명위원회, “도시혁신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2018.
· 오영인, “한국형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올바른 추진 방향을 위한 비판적 시각”, 의료정책포럼 17(1), 2019.
· 이석규, “마드리드 고령화 국제행동 계획”, 노인복지연구 17, 2002.
· 최종권, “스마트도시 구현을 위한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스마트도시법 및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중앙법학 제20집 제3호, 2018.
· 홍일선, “고령사회를 대비한 헌법적 논의: 국가의 노인보호의무와 노인의 사회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9(2), 2008.
· 황정훈, “분배의 정의 실현수단으로써 공공부조수급권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 “고령사회에서 노인의 자기개발권 실현에 관한 연구”, 법이론실무연구 제7권 제1호, 2019.
· , “하이에크의 이론에 입각한 상대적 빈곤해소에 관한 법적 연구”,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제19권 제1호, 2019.
·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돌봄관리의 권리에 관한 법적 고찰”, 법이론실무연구 제7권 제2호, 2019.
· 片桐由喜, “생활보호제도와 사적부양제도의 합리적 조정”, 사회보장법학 제2권 제2호, 2013.
· Basolo, V. “City Spending on Economic Development Versus Affordable Housing: Does Inter‐City Competition or Local Politics Drive Decisions?” Journal of Urban Affairs, 22(3), (2000), pp.317-332.
· Béland, Daniel. “Ideas and Social Policy: An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39. No. 1, (2005), pp.1-18.
· Blank, R. M. & Freeman R. B. “Evaluating the Connection Between Social Protection and Economic Flexibility,” In Blank, R. M. (Ed.). Social Protection vs. Economic Flexibility: Is There a Tradeoff?,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 pp.21-41.
· Bradford, D. F., & Oates, W. E. “The analysis of revenue sharing in a new approach to collective fiscal decision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971), pp.416-439.
· Cameron, D. R. “The expansion of the public economy: A comparative analysi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2(4) (1978), pp.1243-1261.
· Campbell, John L. “Institutional Change and Globalizat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
· Esping-Andersen.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 Ebbinghaus, Bernard and Philip Manow, “Camparing Welfare Capitalism: Social Policy and Political Economy in Europe, Japan and the USA.” New York: Routledge, (2001).
· Hall, Peter. “Policy Paradigms, Social Learning, and the state: The Case of Economic Policymaking in Britain.” Comparative Politics 25. No. 3, (1993), pp. 275-296.
· Hall, Peter and David Soskice. “Varieties of Capitalism: The Institutional Foundations of Comparative Advantages.” (2001).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田畑茂二郞,『國際法講義(上)』, 有斐閣, 1984.
· 広井良典,『日本の社会保障』, 岩波新書, 1999.
· ,『ポスト資本主義 ― 科学・人間・社会の未来』, 岩波書店, 2015.
· 塩野谷祐一,『経済と倫理―福祉国家の哲学』, 東京大学出版会, 2002.
· 西村健一郎,『社会保障法』, 有斐閣, 2008.
· 沼尾波子,『地域包括ケアシステム構築と行政の役割』, 産業経営プロジェクト報告書 第35巻 第2号, 2012.
· 畑本裕介,『社会福祉行政のこれから-<社会保険>化と行政空間の変容』, 人間福祉学部紀要(山梨県立大学) 第7号, 2012.
· 寺本 惠, “後見制度支援信託の槪要”, 登記情報, 第604號, 民事法情報センタ-, 2012.
· G・エスピン・アンデルセン, 渡辺雅男・渡辺景子訳,『ポスと工業経済の社会的基礎―市場・福祉国家・家族の政治経済学』, 桜井書店,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