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 발달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는 사이버교육은 기존의 원격교육을 그 모태로 하고 있다. 약 150년의 원격교육 발달에 따라 그에 관한 연구도 다양한 주제로 이루어져 왔다. 대부분 교육학 및 교육공학적인 연구로서 원격교육의 철학과 개념, 이론들에 관한 연구, 학습자 특성과 그들의 학습 동기, 성취도에 관한 연구, 원격교육 교재 개발과 관련된 연구,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체제에 관한 연구, 원격교육의 조직과 관리에 관한 연구, 비용 효율성 연구, 원격교육의 사적 고찰에 관한 연구 등을 포함한다(정인성, 1999).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원격교육 학생들의 인구 사회학적 속성이 점차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Wallace, 1996; 방송대학 학생생활연구소, 1996; 1997; 1998), 이에 따라 원격교육을 선택하는 요인이나 동기들도 기존 대학에의 참여가 어려웠기 때문에서 원격교육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보다 융통성있는 교육 방식을 허용하는 원격교육이 유용한 학습자 집단은 캠퍼스에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학생들이나 직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학교에 출석하기 어려운 학생들일 것이다. 또한 Wallace(1996)는 캐나다 서부의 대학들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을 듣는 학생들의 특성 변화를 조사한 바 있다. 그는 원격교육의 학습자 중 여성이 남성을 수적으로 앞서 온 것은 오래 전부터의 추세이며, 현재에도 전 세계적으로 보아 여성이 원격교육 학습자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원격교육 프로그램을 함께 제공하는 한 일반대학을 선정하여 원격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한 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의 거주지는 대학이 위치한 주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주내 거주자가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성인 학습자에서 전형적인 대학생 연령의 학습자가 역시 2배 이상 증가하였고, 시간제 등록생에서 전일제 등록생이 2배 이상 증가하였음(전일제 학생이 1984년 18%에서 1995년 38%로 증가함)을 밝혔다.
· <국 내>
· 강길호 외 12인, 2001, 클릭! 지식정보사회, 명경사.
· 교육인적자원부, 1999, 평생교육백서.
· 교육인적자원부, 2000, 평생교육백서.
·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0, 2000 교육정보화백서.
· 권성호 외 7인, 2001, 사이버교육체제 실태조사 분석자료집(1)-기업체 및 공무원 연수기관, 연구자료 RM 2001-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김두연, 1997, “우리나라의 원격교육 현황,” 정보처리학회지 4(3), pp.4-12.
· 도준호, 조동기, 황상재, 박지희, 이승아, 2000. 12., 인터넷의 사회문화적 영향 연구, 2000. 1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 00-31.
· 박영한, 1984, “교육기회의 지역차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11, pp. 1-19.
· 박용선, 1997, “성인의 원격교육 참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4, 교육학용어사전.
· 서울대학교 학술정보원, 2001, 2001 서울대정보화백서.
· 신소영, 1998, “원격영상교육에서 교육장소와 참여동기에 따른 학습동기유발과 학업성취도 비교연구 : 성인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이동심, 2000, “웹기반 가상대학 원격교육의 효과 영향 요인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이수경, 2001,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웹기반교육훈련 발전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이수경, 김종우, 변숙영, 2000, 웹기반훈련평가 방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이수경 외 2인, 원격훈련의 효율적 관리방안 –인터넷 통신훈련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이지만, 1990, “원격교육에 관한 국제적 비교연구 : 아시아지역의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정인성, 1999, 원격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 정인성, 1994, “컴퓨터 통신환경 및 활용 형태 분석,” 교육공학연구, 10(1), pp. 157-172.
· 정인성, 1991, “원격교육용 CAL코스웨어 개발,” 한국통신교육논총 6(1), pp. 55-128.
· 주성재, 김태환, 1998, 정보화시대의 국토정책과제, 국토연 98-19, 국토개발연구원,
· 최항석, 1997, “원격 교육 프로그램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학습지 시장과의 접목 가능성 모색,”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1, 2001 대학생활안내.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2, 2002 대학생활안내.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1996), 1996년도 신편입생 실태조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1997), 1997년도 신편입생 실태조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1998), 1998년도 신편입생 실태조사.
· 한국산업인력공단, 1999. 2, 인터넷 통신교육훈련 시범사업 결과발표 및 사업설명회.
· 한국산업인력공단, 1999. 8, 인터넷 통신교육훈련 시범사업 결과발표 및 사업설명회.
· 한국산업인력공단, 2000. 3, 인터넷 통신교육훈련 시범사업 결과발표 및 사업설명회.
· 한국산업인력공단, 2000. 10, 인터넷 통신교육훈련 시범사업 결과<<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