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ookchin, M., 1987,『The Morden Crisis』, Toronto Univ. Press, Canada.
· Brown, L. R., 1990,『지구환경보고서』, 따님, 김범철, 이승환 역.
· Capra, F., 1982,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 범양사, 이성범, 구윤서 역.
· Dobson, A., 1983, 『녹색정치사상』, 민음사, 정용화 역.
· Kanter, R. M., 1983, 『공동체란 무엇인가』, 심설당, 김윤 역.
· O'Riordan, T., 1981,『Enviromentalism』, Pion, Ltd, London.
· Popence, O., Popence, C., 1993,『세계의 공동체 마을』, 정신세계사, 이천우 역.
· Schumacher, E. F., 2002, 『작은 것이 아름답다 - 인간중심의 경제를 위하여』, 문예출판사, 이상호 역.
· Whyte, William Foote, 1992,『몬드라곤에서 배우자 : 자본주의의 부정의와 사회주의의 비효율을 넘어선 정의와 효율의 통일』, 나라사랑, 김성오 역.
· 김성오, 김규태 엮음, 1993,『일하는 사람들의 기업』, 나라사랑.
· 김지하, 1992,『생명』, 민음사.
· 김지하, 1996, 『생명과 자치』, 솔.
· 나카무라 오사무, 2000, 『왜 경제학은 무한한 자연을 전제로 하는가』,한울, 전운성 역.
· 문순홍, 1992, 『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 나라사랑.
· 신용하 편, 1985,『공동체 이론』, 문학과지성사.
· 유정길, 1993, “생태적 지속가능한 사회로서 계획공동체의 모색”,『서원과 연대』5호.
· 유정길, 1993,“인간과 자연이 하나 된 삶을 추구하는 공동체 - 야마기시가이(山岸會)”, 『녹색평론』12호.
· 유정길, 2001, “생태공동체와 대안사회운동”, 『한국불교환경교육원 2001토론회자료집』, 한국불교환경교육원.
· 이남곡, 1992, “새로운 세계를 향한 우리의 인식과 실천방향”, 『서원과 연대』2호.
· 장회익, 1992, “우주생명과 현대인의 암세포적 기능”,『녹색평론』2호, 녹색평론사.
· 장회익, 1998,『삶과 온생명 : 새 과학문화의 모색』, 솔.
· 정규호, 2001, “환경문제 심화에 따른 생태적 공동체에 관한 연구”,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채수일, 1993 “문명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공동체 운동”,『월간해인』, 해인사출판부.
· 채수일, 1994, "지속가능한 성장이란 무엇인가 - 그린피스 대 기업연합간의 논쟁", 월간 『환경운동』.
· 후루사와 코유, 1993,“탈(脫)성장사로 가는 시나리오”,『녹색평론』12호, 녹색평론사.
· www.ic.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