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n Wu 외9명, 『An Autonomous Hand Hygiene Tracking Sensor System for Prevention of Hospital Associated Infections』, 「IEEE SENSORS JOURNAL」, 2021.
· Nozomi Takeshita 외3명, 『Efforts Against Drug-Resistant Bacteria and Bacteremia in Vietnam』, 「National Center for Global Health and Medicine」, 2014.
· 김경미, 최정실, 『국내 감염관리간호사의 핵심역량과 영향요인 분석』, 「성인간호학회지」, 2014.
· 김옥수 외30명,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 김 탁 외8명, 『KONIS 운영방식 개선을 위한 국가별 의료관련감염 감시체계 운영방식에 대한 문헌 조사』,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0.
· 송영구, 『효과적인 병원감염관리 방안』, 「의료정책포럼,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2007.
· 우석균, 『메르스가 한국사회와 보건의료에 던진 문제들』, 「의료와 사회」, 2015.
· 윤진아, 『독일의 감염병 예방 및 관리 법제 고찰』, 「법과 정책연구」, 2018.
· 이선영, 『메르스 유행 이후 응급의료 전달체계와 응급실 감염관리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정책과정 연구 –혼합연구방법의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 이종훈, 『연속된 감염경로, 단절된 정보경로: 캐나다 사스(SARS) 사태와 한국 메르스(MERS) 사태의 교훈』, 「한구사회」, 2020.
· 이주영, 송지혜, 우애라, 『국제사회의 감염병 대응 ODA 현황과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0.05.13
· 정은영, 김진현 『병원근무자 유니폼에 의한 병원 내 감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간호학의 지평)」, 2013.
· 채정미,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의 감염관리 동향과 시사점』, 「HIRA 정책동향」, 2012.
· 허선, 김계하, 오향순, 『종합병원 감염관리간호사의 업무실태와 스트레스, 역할갈등 및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012.
·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1603310039
· 이동률, 『칠곡경북대병원, 병문안 문화 개선해 ‘제2메르스’ 차단』, 「대구일보」,2016.03.31.
· https://magazine.hankyung.com/job-joy/article/202006263591b
· 이진호, 『코로나19로 뜬 직업, ‘감염관리간호사’ 어떤 조건 필요할까?』, 「매거진 한경」,2020.03.24.
· https://news.imaeil.com/page/view/2017050300294044839
· 장성현, 『[함께 바꾸는 병원 문화]<하>병문안 개선 성공하려면』, 「매일신문」,2017.05.03.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894336&cid=61232&categoryId=61232
· 네이버 지식백과, 「의료관련감염」, 『미생물학백과』
· https://blog.naver.com/albatross_01/222280384137
· 네이버 블로그, 『감염관리전문간호사』, 「알바트로스 학습전략 연구소」, 2021.04.02.
· https://blog.naver.com/white8220/221633596644
· 네이버 블로그,『감염관리간호사 인터뷰: 감염관리전문대학원, 전문간호사 자격시험, 감염관리 간호사 역할 알아볼까요?』, 「저서, 널스매니저」, 2019.08.30.
· https://blog.naver.com/nurse_note/222168163580
· 네이버 블로그, 『감염관리전문간호사 최정화 선생님 인터뷰』, 「널스노트」, 2020.12.09.
· https://blog.naver.com/kmedi6210/222402319309
· 네이버 블로그, 『의료사고 예방을 위한 의료사고 예방위원회 활동 – 의료관련감염 중심으로 [고려대 구로병원]』,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2021.06.18.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9137932&memberNo=28162671&searchRank=21
· 네이버 포스트, 『간호사 12만명 부족한데… 정부·간호사 ‘동상이몽’』, 「조선비즈」, 2017.08.16.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156084&memberNo=3600238&vType=VERTICAL
· 네이버 포스트, 『비대면 시대, 병문안도 스마트하게』, 「서울대학교병원」, 2020.08.20.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254619&memberNo=45207633&searchKeyword=%ED%95%B4%EC%99%B8%20%EC%9D%98%EB%A3%8C%EA%B4%80%EB%A0%A8%20%EA%B0%90%EC%97%BC&searchRank=20
· 네이버 포스트, 『스마트케어 특집] 세아인포텍, 격리병동 어시스턴스 로봇 선보여』, 「특허뉴스 공식포스트」, 2021.08.27.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0185885&memberNo=36630213&searchKeyword=%ED%95%AD%EC%83%9D%EC%A0%9C%EB%82%B4%EC%84%B1%20%EA%B0%90%EC%97%BC&searchRank=2
· 네이버 포스트, 『심각한 약물내성 문제, ‘쓸 항생제 없다’ WHO 보고해』, 「KIMS_세계의약뉴스」, 2017.10.24.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2114313&memberNo=22718804&searchKeyword=%EC%9D%98%EB%A3%8C%EA%B4%80%EB%A0%A8%20%EA%B0%90%EC%97%BC&searchRank=7
· 네이버 포스트,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사건이 저수가 때문?"』, 「베이비뉴스」, 2018.01.15.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6056913&memberNo=8885713&searchKeyword=%ED%95%B4%EC%99%B8%20%EC%9D%98%EB%A3%8C%EA%B4%80%EB%A0%A8%20%EA%B0%90%EC%97%BC&searchRank=1
· 네이버 포스트, 『주사로 인한 감염 막으려면 ‘이것’ 주의하세요』, 「중앙일보 헬스미디어」, 2018.06.15.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8210597&memberNo=33296067&vType=VERTICAL
· 네이버 포스트, 『직업인 인터뷰] 감염병을 예방하고 집중 관리하는 ‘감염관리 간호사’』, 「비상교육」, 2020.05.12.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0635045&memberNo=52767060&searchRank=31
· 네이버 포스트, 『코로나19 이후 ‘뉴노멀’의 대표 키워드 ‘원격의료’ 시장 전망』, 「대웅제약」, 2021.02.03.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0583708&memberNo=30808385&searchKeyword=%ED%95%AD%EC%83%9D%EC%A0%9C%EB%82%B4%EC%84%B1%EC%98%88%EB%B0%A9&searchRank=3
· 네이버 포스트, 『항생제 내성, 이렇게 예방하세요!』, 「대한민국 정부」, 2017.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