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대중음악] 서태지와 한국 대중음악의 문제점 및 대안

좋은 참고 되세요^^
2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3.12.08 최종저작일 2003.12
25P 미리보기
[대중음악] 서태지와 한국 대중음악의 문제점 및 대안
  • 미리보기

    소개

    좋은 참고 되세요^^

    목차

    서론
    <대중음악과 서태지>
    ‣ 대중음악이란 무엇인가
    ‣ “서태지와 아이들” 등장 이전의 대중음악
    ‣ “서태지와 아이들” 등장 이후의 대중음악
    ‣ “서태지와 아이들” 은퇴 이후의 대중음악

    본론
    <대중음악의 문제점들>
    ‣ (1) 10대의 댄스음악만 남은 빈곤한 가요
    ‣ (2) 유일한 홍보매체 방송에의 완전한 종속
    ‣ (3)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배타적’ 독점성
    ‣ (4) 가치관 왜곡 • 퇴폐 폭력성
    ‣ (5) 기획상품이 된 가수와 표절 : 아티스트 부재의 가요계
    ‣ (6) 블록버스터 중심의 음반제작과 음반제작의 고비용
    ‣ (7) 라이브 공연의 부재
    ‣ (8) 음반유통의 후진성과 유통과정의 고비용
    ‣ (9) 음반시장의 침체
    ‣ (10) 음반산업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의지 박약
    ‣ (11) 대중가요 순위 프로그램의 폐해

    결론
    <대중음악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들>
    ‣(1) 제안 1 : 음악산업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음반산업발전을 위한 종 합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2) 제안 2 : 공연문화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3) 제안 3 : 방송의 음악시장 지배력 축소가 필요하다.
    ‣(4) 제안 4 : 독립음반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5) 제안 5 : 창의적인 음악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6) 제안 6 : 음악산업지원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
    ‣(7) 제안 7 : 음반유통의 전산화와 불법음반근절이 필요하다.
    ‣(8) 제안8 : 유통관리를 위한 표준코드의 도입 및 세제지원이 필요하 다.
    ‣(9) 제안 9 : MP3에 대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종합적 결론

    본문내용

    한국대중음악사에서 서태지가 차지하는 부분은 크다. 그의 등장을 계기로 한국대중음악의 판도가 바뀌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대중음악사는 서태지를 중심으로 크게 서태지 등장이전과 이후 그리고 은퇴후 등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한국대중음악사의 황금기라고 하는 80년대 후반 직후 등장한 서태지가 대중음악 문화에서 갖는 의미를 생각해봤다. 그리고 서태지 등장 이후의 90년대 대중음악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10대의 댄스음악으로 획일화된 가요계, 방송의 아이템으로 전락한 대중음악, 블록버스터(빅히트를 목표로 높은 제작비를 들여 제작된 음반)중심의 음반제작시스템으로 인한 독립음반산업의 침체, 음반유통의 후진성, 국가의 정책적 의지 박약 등 90년대의 한국대중음악의 현주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대중음악이란 무엇인가

    대중음악에 대하여 조사하기에 앞서 대중음악과 대중(大衆)에 대한 개념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대중음악이란 말은 ‘대중’과 ‘음악’의 합성어로써 대중에 의해 공유되는 음악을 말하므로 대중음악의 생산자, 혹은 소비자로서의 대중의 정의를 명확히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대중의 사전적 의미는, 계급․사회적 지위․직업․학력 등 사회적 속성(屬性)을 초월한 이질적인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로 구성된 집합체이며, 구성원은 서로 미지(未知)의 ...

    참고자료

    · 디지털 타임즈 ‘음반시장 최악의 불황’
    · 한국음반산업협회 http://www.riak.or.kr
    · 대중음악개혁을위한연대모임
    · http://www.musicreform.net/
    · 문화 관광부 http://www.mct.go.kr
    · SM엔터테인먼트 - www.smtown.com
    · KBS (http://www.kbs.co.kr)
    · 김휴종, "한국 음반산업 연구",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 1997.
    · 심재권 2000<한국 대중 음악 중흥을 위한 9가지 제안>
    · 김한섭, 서태지 담론, 세훈문화사, 1999, 4, 30.
    · 이동연, 서태지는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문남과학사, 1999, 4, 20.
    · 강인중, 대중음악과 청소년 그리고 교회의 과제, Lighthouse, 2001. 8.
    · 강인중, 대중음악 이것이 궁금하다, 목회와 신학, 2001. 8.
    · 홍성식, 석희열, 라이브 공연없이 대중음악 미래 없다, 2001. 10. 01
    · 딴지일보, 1998. 9. 28.
    · DJ Jason, 블루노이즈, 2001. 7.
    · 대중가요 순위 프로그램을 폐지하라, 목원대 신문
    · 신현준(1995), 들뢰즈/가타리 : 존재의 균열과 생성의 탈주, 근대의 경계를 넘어서 - 철학의 탈주, 새길.
    · 신현준(1995), 들뢰즈/가타리 : 분열증 분석과 욕망의 미시정치학, 탈현대사회사상의 궤적, 새길.
    · 임진모(1996), 록, 그 폭발하는 젊음의 미학, 창공사.
    · 윤소영(1996), 알튀세르를 위한 강의, 공감.
    · Roy Shuker, Key Concepts in Popular Music, 이정엽, 장호연 역 《대중음악사전》, 한나래.
    · 한겨레 21, 제 121호, 96. 8. 15.
    · 한겨레 21, 제 125호, 96. 9. 12.
    · 한국 음반산업 협회, http://www.riak.or.kr/riak/음반관련통계.htm.
    · 가슴, http://www.gaseum.co.kr/8020/article_show.asp?content_idx=169&page=1.
    · 독백(DogBeck), http://www.dogbeck.co.kr/lip-02.htm-09.htm..
    · 아름다운 밴드연합, http://bluenoise.co.kr/bluezine/1999_03/blueeyes2.asp.
    · Master Plan Production, http://www.mphiphop.com/mpzine/1_2.htm.
    · The Sea, http://www.koreatoday.co.kr/music/review/music_review.htm.
    · E Times, http://www.etimesi.com/news/detail.html?id=200103020106.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