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의학연구] 에이즈(AIDS)와 감염관리 연구

"[의학연구] 에이즈(AIDS)와 감염관리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3.12.07 최종저작일 2003.12
14P 미리보기
[의학연구] 에이즈(AIDS)와 감염관리 연구
  • 미리보기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HIV의 전파경로
    2. 병원에서의 HIV감염 현황
    3. HIV감염에 노출되었을 때의 처치
    1) 노출에 대한 평가
    2) HIV에 노출후 처치
    3) 노출후 관리
    4. 예방방법 및 관리방법
    1) Universal Precaution
    2) HIV항체검사
    3) 오염물의 처치
    4) 오염된 기구의 소독 및 오염물의 소독
    5) 교 육
    6) 침습성 시술에 있어서의 주의사항
    가. 수술실
    나. 중환자실
    다. 내시경실
    라. 기관지경실
    마. 폐기능 검사실
    바. 심도자 검사실
    사. 인공신장실
    아. 내과특수검사실
    자. 치과에서의 주의사항
    차. 분만실
    7) 특수부서에서의 주의 사항
    가. 중앙공급실
    나. 병리 및 임상병리 검사실
    다. 영양과
    라. 직물관리실
    마. 소아과
    바. 기 타
    Ⅲ. 결 론

    표1 HIV감염에 노출시 파악할 내용
    표2 Universal precaution
    표3 보호장비의 사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병원감염이란 "입원당시에 나타나지 않았음을 물론, 잠복상태도 아니었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입원당시 잠복상태가 불분명한 경우는 일단 병원감염으로 간주하며, 입원당시에 이미 나타났던 감염이라도 그것이 과거 입원과 연관이 있을 때에는 병원감염으로 간주한다. 또한 퇴원후에 발생한 감염이라도 이미 입원기간 중에 잠복상태에 있었다면 이 또한 병원감염이라 할 수 있다. 환자 뿐만 아니라 환자를 돌보는 의료인이나 병원직원, 심지어는 방문객에서도 입원환자나 병원환경으로부터 예기치 않게 감염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병원감염이라고 한다(김준명, 1993).
    AIDS(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가 병원감염과 관련하여 문제가 되는 이유는 체액이나 혈액 등으로 인해 감염되는 B형 감염과 같이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성 질환이라는 것이다. AIDS가 전염성 질환인 이상 AIDS의 병원체인 HIV에 감염된 환자로부터 병원에 입원한 다른 환자나 병원에서 일하고 있는 병원직원이 감염의 위험에 폭로될 기화와 감염될 위험성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AIDS가 알려지던 초기에는 많은 경우에서 HIV감염 환자가 입원하게 되면 병원직원 뿐 아니라 옆의 환자들 까지도 감염이 될까봐 불안해하며 자기 방어적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IDS의 실체와 관리방법등이 알려진 현재에는 어느 정도 불안감은 해소 되었지만 아직도 일부에서는 막연한 공포심이 남아있는 것을 보게되므로 병원감염관리의 측면에서 올바른 예방법이나 관리방법 등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참고자료

    · 1. 세브란스 병원(1990). 감염관리지침
    · 2. 김준명(1993). 병원감염. 세브란스 병원 Q.A. 워크샵 유인물
    · 3.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1989). Management of HIV infection in the hospital. AJIC, 17(4), 24A-44A.
    · 4. The Association for Practitioners in Infection Control & The Society of Hospital Epidemiologists of America(1990). Position paper : The HIV-infected health care worker. AJIC, 18(6), 371-382.
    · 5. The Association for Practitioners in Infection Control(1992). APIC Position paper : Prevention of device-mediated blood-borne infections to health care workers. AJIC, 21(2)
    · 6. CDC(1993). Prevention of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AIDS) : Report of interagency recommendations. MMWR, 32, 101-103
    · 7. CDC(1987).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of HIV transmission in health care settings. MMWR, 36(2S), 3s-18s.
    · 8. CDC(1988). Update: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among health-Care workers. MMWR, 37(15), 230-235
    · 9. CDC(1988). Update: universal precautions for prevention of transmissio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epatitis B virus, and other bloodborne pathogens in health care settings. MMWR, 37, 377-388
    · 10. CDC(1990). Public health service statement on management of occupational exposure to immunodeficiency virus, including considerations regarding zidovudine postexposure use. MMWR, 39(RR-1), 1-14.
    · 11. Gerner, H.M., Ivey, F.D., Lane, T.W.(1989):Follow-up and education of employees exposed to a patient with HIV antibodies and massive bleeding. AJIC, 17(6), 349-352
    · 12. Henderson, D.K, Gerberding, J.L.(1989). Prophylatic zidovudine after occupational exposure to th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 interim analysis. J. Infect Dis, 160, 321-327
    · 13. Mason, C.A.(1989). The OSHA inspection process : One hospital experience. AJIC, 17(6), 353-358.
    · 14. Mansour, A.M.(1990). Which physicians are at high risk for needlestick injuries?. AJIC, 18(3), 208-210
    · 15. Lifson, A.R.(1988). Do alternate modes of transmission of humman immunodeficiency virus exit? : A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59, 1353-56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