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체계이론,가족치료,가족체계의 이해,가족구성원의 인지,간호이론

"가족체계이론,가족치료,가족체계의 이해,가족구성원의 인지,간호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2.04.12 최종저작일 2022.04
14P 미리보기
가족체계이론,가족치료,가족체계의 이해,가족구성원의 인지,간호이론
  • 미리보기

    목차

    Ⅰ. 가족체계 이론의 이해
    Ⅱ. 가족체계 이론의 분석
    Ⅲ. Theory Evaluation
    Ⅳ. References

    본문내용

    가족체계이론은 여러 대에 걸친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 가족이 어떻게 개별성과 연합성의 상호작용을 형성하는가를 설명(Nichols M. P., 2011. p. 117)하여 가족을 이해하고 나아가 가족치료에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가족치료가 실용주의자들에 의해 통찰보다는 행동, 이론보다는 기법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데 반해 Bowen은 일련의 치료기법보다는 사고방법으로서의 체계이론에 더 몰두하여 가족들의 삶을 형성시키는 가족관계망보다는 각 구성원의 사고와 감정을 중시하였다(Nichols M. P., 2011. p. 119). 이론의 핵심목표는 자아의 분화, 즉 집단으로서의 가족생활의 강력한 압박 속에서도 자신을 유지시키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M. E. Kerr&M. Bowen, 1988. p. 43).
    Bowen은 1940년대 정신과 의사로 메닝거 클리닉에서 일하며 정신분열증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환자의 어머니와 정서적으로 장애를 나타내는 자녀간의 정서적 유대가 전체 가족과도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 문제의 핵심에는 불안에 의해 유발된 일종의 병리적 형태의 밀착인 ‘불안애착’이 있으며, 이러한 불안애착을 지닌 가족은 개인적 자율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Nichols M. P., 2011. p. 118). 이에 Bowen은 ‘불안’과 ‘정서적 융합’, ‘분화’의 개념을 통해 현상을 설명하고 이론을 설명하는 상호연동적인 여섯 가지 개념을 통해, 여러 대에 걸친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 가족이 어떻게 개별성과 연합성의 상호작용을 형성하는가를 설명하였다. 이 여섯 가지 주요개념은 자아분화, 정서적 융합, 정서적 단절, 삼각관계, 핵가족의 정서체계, 가족의 투사과정이다.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간호학에서 접근하려는 시도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탓에 이 이론자체에서 간호의 메타패러다임을 모두 확인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참고자료

    · 김영숙. (1988). 가족간호에서의 Bowen 이론의 재구성. 김천과학대학 논문집, 16, 173-190.
    · 박태영 (2001). 가족치료 이론의 적용과 실천. 서울: 학지사
    · 이경혜, et al(2002), 가족건강간호학. 서울: 신광출판사.
    · 이선혜. (2000). Bowen 이론의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에 관한 一考.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8(1), 159-188.
    · 홍정애, &성영혜. (2007). 가족치료놀이가 발달장애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0(3), 1-15.
    · Butcher, H. K. (1994). A unitary field pattern portrait of dispiritedness in later life. (Ph.D.,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 (304151663).
    · Constable, R., Lee, D. B. (2008). (사례중심) 가족치료와 사회복지실천. 서울: 학지사.
    · Donna G. Knauth. (2003). Family Secrets: An Illustrative Clinical Case Study Guided by Bowen Family Systems Theory. Journal of Family Nursing, 9(3), 331-344.
    · Glasscock, F. E., &Hales, A. (1998).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A useful approach for a nurse administrator's practi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8(6), 37-42.
    · Goodell, T. T., &Hanson, S. (1999). Nurse-family interactions in adult critical care: A bowen family systems perspective. Journal of Family Nursing, 5(1), 72-91.
    · Horne, K. B., &Hicks, M. W. (2002). All in the family: A belated response to knudson-martin's feminist revision of bowen theor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8(1), 103-113.
    · Leddy, S., &Pepper, J. M. (c1993). Conceptual bases of professional nursing (3rd ed.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 Marilyn M. Friedman, et al. (2006), 가족간호. 서울: 군자출판사.
    · M. E. Kerr & M. Bowen(1988). 보웬의 가족체계이론. 서울: 학지사.
    · Miller RB, Anderson S, &Keala DK. (2004). Is bowen theory valid? A review of basic research.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0(4), 453-466.
    · Nichols, M. P. (2011). 가족치료:핵심개념과 실제적용. 서울: 시그마프레스.
    · Nichols, M. P., Schwartz, R. C. (2005). 가족치료. 서울: 시그마프레스.
    · Skowron, E. A., Holmes, S. E., & Sabatelli, R. M. (2003). Deconstructing differentiation: Self regulation, interdependent relating, and well-being in adulthood. Contemporary Family Therapy, 25, 111-129.
    · Svavardottir, E. K. (2008). Excellence in nursing: A model for implementing family systems nursing in nursing practice at an institutional level in iceland [corrected] [published erratum appears in J FAM NURS 2009 feb;15(1):120]. Journal of Family Nursing, 14(4), 456-468.
    · Teresa T. Goodell, Shirley M. H. Hanson (1999). Nurse-Family Interactions in Adult Critical Care: A Bowen Family Systems Perspective. Journal of Family Nursing, 5(1), 72-91.
    · Twibell, R. (1998). Family coping during critical illness.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17(2), 100-112.
    · Walsh, F. (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The Guilford
    · Ziegler, S. M. (2005). Theory-directed nursing practice. New York: Springer Pub. Co.
  • 자료후기

    Ai 리뷰
    가족체계이론은 가족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정서적 과정을 중심으로 가족을 이해하고 치료하는 이론으로, 간호학에서도 가족 중심 실무를 위한 유용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