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미디어의 헤게모니 - 페미니즘
- 최초 등록일
- 2022.01.18
- 최종 저작일
- 2022.01
- 6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500원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소개글
100점 만점 중에 93점 받았어여
목차
1. 헤게모니의 이론적 설명
2. 헤게모니의 작용
3. 사례 : 대항 헤게모니 – 가부장제와 페미니즘
1) 언론 미디어가 페미니즘을 다루는 법
2) 미디어 컨텐츠의 발전과 페미니즘의 가시화
본문내용
헤게모니의 이론적 설명
헤게모니의 어원은 권위나 지배를 뜻하는 그리스어 ‘헤게모니아(Hegemonia)’ 이고 한국어로 패권이라는 말로도 통용된다. 헤게모니 투쟁 발생의 구조적 원천은 세계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의 중심국의 문화가 주변 자본주의 국가의 주변부 지배계급과 일치된 이해관계 하에 주변부의 민중을 통제하는 매커니즘의 하나로 작용함에 근거를 둔다. 마르크스 주의에서 헤게모니의 존재는 곧 노동문화를 ‘소시민화’ 시키고 이의 건강성을 상실시킬 뿐 아니라 그들이 문화를 지배문화와 구별하지 못하도록 하며 한편으로는 국가의 개입과 생산과 관리양식에 있어 테크놀리지와 과학의 역할에 대한 자율화와 문화, 소비지 향적 문화소구 등의 문화적 요인 등을 통해 피지배계급의 [문화적 정체감-cultural identification]을 파괴함으로써 지배문화의 확장을 더욱 가속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헤게모니란 집단을 주도할 수 있는 권력이나 지위로 한 지배 집단이 다른 집단을 대상으로 행하는 정치, 경제적, 문화적 영향력이다. 이 영향력은 물리적인 힘이 아닌 동의를 구하기 위한 이데올로기 전파를 통해 실현된다. 헤게모니는 20 세기 초 러시아 혁명가(마르크스 주의)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후에 안토니오 그람시가 ‘진지전 이론’을 전개하며 대중화 되었다. ‘진지전(position warfare)’이라는 것은 그동안의 ‘기동전(Maneuver Warfare)’ 적인 공산주의 혁명의 이행 전략에 대비하여 나온 것으로 이는 [카우츠키]가 먼저 ‘지구전 전략’이라는 용어로 먼저 제시했다. 하지만 그람시는 ‘보통선거’만으로 노동자들이 권력을 쟁취할 수 없다 존재하며, 노동자의 이념을 가진 자가 선거에서 승리한다 해도 이를 노동자들의 온전한 권력 쟁취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사실 이것은 자본주의에서 탄생한 공산주의 투쟁 이론에 더 가깝지만 문화 연구에서 뺄 수 없는 아주 중요한 이론이다.
참고 자료
성일권(2010)/그람시적 대항 헤게모니의 현재적 의미와 그 가능성 / 한국사회역사학회
김수아(2018)/젠더정치의 미디어 프레임, ‘그 페미니즘’ / 새얼문화재단
김수아(2019)/오래된 문제와 새로운 주체들 – 디지털 미디어 시대와 페미니즘 / 한국여성연구소
김소영(2018)/강남역 페미니즘 ‘나체’ 시위는 결국 ‘거부감’만 키웠다. / 인사이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