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 행동주의, 인간중심 상담이론과 주요기법을 설명하고, 각 이론의 장점과 한계점을 설명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2.01.17
- 최종 저작일
- 2021.04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정신분석, 행동주의, 인간중심 상담이론과 주요기법을 설명하고, 각 이론의 장점과 한계점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정신분석 상담이론
Ⅱ. 행동주의 상담이론
Ⅲ. 인간중심 상담이론
Ⅳ. 세 이론의 장점과 한계점 비교 설명
1. 실제 상담 장면에서 세 이론의 장점
2. 실제 상담 장면에서 세 이론의 한계점
본문내용
“정신분석 상담은 프로이드 Freud(1856-1939)의 정신분석학의 원리와 방법을 응용한 상담적 접근이다.”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힘의 근원은 무의식에 있다고 보았으며 무의식적인 갈등이 부적응, 신경증, 신경 질환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 있다. 프로이드의 정신 분석이론은 성격발달의 모델로 삼고 있으며,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과 정신치료의 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정신 분석 이론은 20세기에 발견한 하나의 위대한 업적으로 인정받을 만큼 인간의 정신생활을 이해하는데 큰 기여를 해 왔다.
정신분석에서는 부적응행동은 대부분 무의식적 갈등이나 억압에서 발생된다고 보고 있다. 이것이 성격장애, 신경증, 정신병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것은 모두 전부터 자신의 내부에 자리 잡고 있던 무의식적 갈등에 대하여 환자 나름대로 내어 놓은 해결책인 것이다.(김기석, 1978)
정신 분석에서 성격의 구조는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기능에 따라 분류한다. 원초아(id)는 본능이 작용하는 마음의 한 부분으로 정신적 에너지의 저장고이다. 외부 세계보다는 신체적 과정과 관련되어 있고 유일한 목표는 욕구 충족이다. 자아(ego)는 원초아가 현실적인 위험이나 위협이 없을 때 기능하도록 하는 마음의 한 부분이다. 그러기 때문에 원초아와 현실 세계 간에 중재 또는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 자료
강갑원 2004 『알기 쉬운 상담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