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 보건복지부
· Ahorsu, D. K., Lin, C., Imani, V., Saffari, M., Griffiths, M. D., & Pakpour, A. H. (2020). The fear of COVID-19 scal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 Addiction, 1–9.
· J. Block and A. M. Kremen, "IQ and ego-resiliency: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349-361, 1996.
· K. L. kumpfer and J. F. Summerhays,"Prevention Approaches to Enhance Resilienceamong High-Risk Youth: Comments on the Papers of Eishion & Connell and Greenberg,"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Vol.1094, pp.151-163, 2006.
· 김동희, 만성질환아의 극복력 측정도구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S. S. Luthar and E. Zigler, "Vulnerability and competence : A review of research on resilience in childhood,"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61, No.1, p.6022, 1991.
· A. Sood, D. Schroeder, and P. Varkey, "Stress management and management and resilience training among 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Vol.26, No.8, pp.858-861, 2011.
· K. Tusaie and J. Dyer,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truct," Holistic Nursing Practice, Vol.18, No.3, pp3-10, 2004.
· 박계숙, 신규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김지인, 대장암환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김부남, 오현숙, 박용숙, “간호사의 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4-23, 2011.
· 구미옥, 김매자, “간호원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8-37, 1984.
· 안미경,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실천 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송인숙,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성격특성 및 직무만족, 건강상태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7권, 제4호, pp.297-317, 2005
· 변대식, 염영희,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5권, 제3호, pp.444-454, 2009.
· 최경진,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J. Li and V. A. Lambert, “Job satisfaction among intensive care nurses from the People's Republic of Chiana,"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Vol.55, pp.34-39, 2008.
· 윤금숙, 김숙영,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제16권, 제4호, pp.507-516, 2010.
· 남춘연 ( Chun Youn Nam ),김희숙 ( Hee Sook Kim ),& 권소희 ( So Hee Kwon ). (2013). 인지행동요법을 적용한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문제중심 대처방식,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2(1), 12-21.
· 진달래,& 이규영. (2020). COVID-19 감염으로 임시 폐쇄된 서울 종합병원 간호사의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6(4), 412-422.
· 구미옥, 김매자, “간호원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8-37, 1984.
· 안미경,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실천 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남천윤, 김희숙, 권소희 (2013). Effects of a Stress Management Program Provid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on Problem-focused Coping, Job Stress, and Depression in Firefigh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 12. 10.12934/jkpmhn.2013.22.1.12.
· 강정숙(Jenong-Sook Kang),& 임지영(Ji-Young Lim). (2015).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1), 263-273.
· 한금선 ( Kuem Sun Han ),최미영 ( Mi Young Choi ),이은미 ( Eun Mi Lee ),임희수 ( Hee Su Lim ),박영희 ( Young Hee Park ),양윤경 ( Yun Kyung Yang ),& 차선경 ( Sun Kyung Cha ). (2013). 의료인을 위한 직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2(3), 180-192.
· 박정옥,이미정,김경자,장봉희,유문숙,Park Jung Ok,Lee Mi Jung,Kim Kyung Ja,Jang Bong Hee,& Yoo Moon Sook. (2013). 신입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 가정간호학회지, 20(2), 124-132.
· 손정은,& 김상희. (2019). 신규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이 현장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5(2), 151-160.
· 하나선(Na Sun Ha),최정(Jung Choi),이용미(Yong Mi Lee),임미영(Mee Young Im),이규은(Kyu Eun Lee),길숙영(Suk Young Kil),& 고명숙(Myung Suk Kho). (2002).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스트레스 지각, 대처유형,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8(1), 31-44.
· 안황란 ( Hwang Ran Ahn ),박찬경 ( Chan Gyeong Park ),강영실 ( Young Sil Kang ),김은심 ( Eun Sim Kim ),권인수 ( In Soo Kwon ),오현숙 ( Hyun Sook Oh ),정면숙 ( Myun Sook Jung ),은영 ( Young Eun ),& 최소영 ( So Young Choi ). (2008).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중소도시 재가노인의 스트레스와 프로그램 효율성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7(4), 372-382.
· 김자현(Ja-Hyun Kim),& 한금선(Kuem-Sun Han). (2021). 인지 행동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응급실 간호사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기분 상태,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硏究, 29(2), 87-96.
· 정주리,& 신소영. (2019).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공감만족,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8(4), 253-261.
· 김옥녕,& 최소영. (2021).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상간호연구, 27(2), 12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