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nor, K. M., & Davidson, J. R. (2003).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18(2), 76-82.
· 강영례. (2001). 입원 노인 환자의 가족수발과 간병인 수발시의 만족도비교 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 권진, & 고민석. (2017). 요양병원 노인 입원환자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12), 423-433.
· 김귀분, 송기숙, & 석소현. (2008). 노인의 자아 존중감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7(1), 65-74.
· 김근순. (2016). 가족관계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영선, & 심경희. (2000).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9(1), 79-93.
· 김영지 외. (2009). 한방병원에 입원한 뇌경색 환자의 기능회복과관련된 특성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 30(4)
· 김이철, & 백진아. (2016). 가족갈등,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4(7), 279-287)
· 김정이 외. (2016). 만성질환 입원노인의 가족지지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우울과의 관련성. 농촌의학· 지역보건, 41(1), 13-26
· 김주연, & 김계하. (2014). 요양병원 노인 환자가 지각한 절망감과 가족지지. 노인간호학회지, 16(2), 151-159
· 류해룡. (2016). 시설거주 노인의 의사소통 기술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강원도 지역 무료양로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680-694.
· 박미숙. (2010). 노인이 인지하는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사회복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병남, & 박진희. (2014). 급성기 노인 입원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21(1), 52-59.
· 박종원, & 김숙희, (2015), 배우자 사별 여성노인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16, 1-32.
· 방미선, & 이지현. (2017). 노인 위암 환자의 회복탄력성 영향요인. Asian Oncology Nursing, 17(3), 170-179.
· 서금숙, & 염은이. (2018). 노인의 가족결속력, 자가간호역량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2), 516-525.
· 석소현. (2008).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신체적 건강상태, 가족지지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4), 564-574.
· 소권섭, 황혜정, & 김은미. (2019). 노인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의료이용이 주관적 건강수준과 행복감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3), 544-552.
· 송경화, & 김경화. (2018). 입소시설 노인의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가간호역량 간의 관계. 한국간호연구학회지, 2(2), 55-66.
· 송양숙. (2004). 재가 신체장애인의 회복력 영향요인.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현규. (2016). 지체장애인에 대한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 타당화: Rasch 모형 사용.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구 중복· 지체부자유아교육), 59(4), 159-180.
· 양혜진. (2018). HIV 감염인 및 AIDS 환자의 회복력 측정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 유하나 외. (2015). 가족의사소통과 가족결속력이 노인여성의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9(6), 469-483
· 윤대호. (2017). 독거여성 노인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생활 만족에 미치는 융복합 영향-사회참여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5(9), 345-354.
· 이상복. (2019). 노인의 삶의 의미, 가족지지, 죽음불안 및 웰다잉 (Well-dying) 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1263-1278
· 이선옥, & 김문정. (2015). 건강지각과 가족지지가 입원 노인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9(4), 145-155.
· 이수천 외. (2014).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영성이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44, 139-161.
· 이진희 외 (2015). 입원 노인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5, 141-153.
· 이혜련. (1994). 노인의 자아 존중감과 자가 간호 수행간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장경오 외. (2015).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삶의 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7), 4723-4733.
· 전겸구, 권기덕, & 김상기. (1999). 한국판 CES-D 개정연구: I. 사회과학연구.
· 정신섭. (2015). 노인의 특성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최세영. (2020).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최해경, & 김정은. (2018). 빈곤한 여성 독거노인의 노화 태도와 만성질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9(1), 275-293
· 최향숙. (2019). 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2), 314-321.
· 통계청, 2019 고령자 통계 보도자료
· 황은희, & 신수진. (2015). 심혈관질환자의 회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4), 2211-2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