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진아(2010).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 구봉진, 조건상(2012). 초등교사의 생활체육참여를 통한 여가만족이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231-242.
· 권영주(2002).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 김동일, 이혜은, 박은지(2017). 해결중심 집단상담의 효과: 다층메타분석을 통한 효과크기 분석. 상담학 연구, 157-179.
·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39.
· 김은주, 김은라(2017). 초등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교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45-363.
· 김지윤, 정가윤(2015).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 및 교직관과 소진경험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 김효진(2014). 중등교사의 심리적 소진 정도에 따른 소진 예방프로그램 요구 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박경애, 조현주(2008). 인지행동 심리 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의 직무만족, 심리적 소진, 자아존중감 및 역기능적 신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261-279.
· 박은아(2016). 교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소진의 관계에서 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 서선순(2007).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 서은주, 김장희(2015). 초,중등교사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상담 경험 및 기대에 관한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3-43.
· 서지영, 서영숙(2002). 유치원교사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9-251.
· 정문자, 이영분, 김유순, 김은영(2017). 해결중심 가족상담. 서울: 학지사.
· 조환이, 윤선아(2014). 교사 소진 연구동향 분석. 뇌교육연구, 77-100.
· 안재천(1992). 교사유형에 따라 아동이 지각하는 학업성취 압력 및 우울증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유태영, 이기법, Ashton, M. C. (2004). 한국판 HEXACO 성격검사의 구성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61-75.
· 윤은주, 어주경(2015). 해결중심 사고척도(SFI)의 요구구조 분석. 해결중심치료학회지, 1-19.
· 이상수, 김대현, 송연주, 오정희(2014). 교사의 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의 매개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382-391.
· 이상란(2017). 중등교사의 상담전문성 역량 강화 및 심리적 소진예방에 관한 요구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21호.
· 이정영(2012).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학교 구성원에 대한 신뢰,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이지혜(2010).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143-164.
· 이현아, 이기학(2009).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83-102.
· 정순우(2012). 중등교사의 성격 5요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심리행동연구(Journal of Psychology and Behavior).
· 주영숙(2002) ‘교사의 주관적 지각과 직무효율성간의 관계에 대한 판별 함수 분석적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6권, 제1호. 205-227.
· 한혜수(2019). 교사의 심리적 소진 예방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황인호, 장성화(2012). 교사의 심리적안녕감, 공감능력, 직무효율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논문지, 232-242.
· Buss, A. H. (1989). Personality as traits. American Psychologist. 1378-1388.
· Farber, B. A.(1990). Brunout in psychotherapists: Incidence, types, and trends. Psychotherapy in Private Practice, 35-44.
· Maslach, C., & Jackson, S. E.(1981). Maslach bornout inventory manual. PaloAlto, CA :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 McCrace, R. R., Costa, P. T.,(2008). The five-factor theory of personality, In O. P. John, R. W. Robin, L. A. Pervin(Ed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3rd ed).)”, 159-181.
· Wright, T. A. & Corpanzano, R. (2004). The Ro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Job Performance: A Fresh Look at an Age-Old Quest. Organizational Dynamics, 338-351.
· Goldberg, L. R. (1999). A broad bandwidth, public-domain, personality inventory measuring the lower-level factors several five-factor models. Personality Psychoogy in Europe, 7-28.
· Wright, T. A. (2010). Much More than Meets the Eyes: The Role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Job Performance, Employee retention and Cardiovascular Health. Organizational Dynamics, 1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