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조사론_외생변수란 무엇이며, 왜 문제가 되는지 강의내용을 중심으로 작성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21.11.17
- 최종 저작일
- 2021.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외생변수 유형
2-2. 외생변수 통제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실험설계는 실험 문제의 결과를 얻고 변량을 통제하기 위한 실험 연구의 계획, 구조 및 전략의 과정이다. 효율적인 실험설계를 위해서는 ① 가설의 변수의 변량을 극대화하고 ② 결과의 왜곡을 초래하는 외생적, 또는 원하지 않는 변수들의 변량을 통제해야 하며 ③ 측정오차를 포함한 오차 변량을 극소화해야 한다. 이때 외생변수란 실험설계를 구성하는 독립변수에 영향을 미쳐 타당도를 낮추는 요인이 되는 변수를 말한다. 따라서 외생변수의 통제는 독립변수의 영향을 극소화(minimize), 제거(nullify), 고립(isolate)시킴으로써 타당도가 높은 실험 결과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과정이다. 이 글은 실험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생변수의 유형과 이를 통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뒤, 결론에서 외생변수의 발생 사례와 통제에 대해 서술한다.
2. 본론
1) 외생변수 유형
외생변수의 유형은 크게 피실험자에게서 기인하는 유형과 실험설계 자체에서 기인하는 유형으로 나눠볼 수 있다. 예컨대 성숙효과(maturation effects)는 실험대상의 실험(독립)변수에 대한 자체적인 적응을 통해 나타나는 실험변수와 무관한 왜곡반응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실험대상의 육체적, 심리적 변화에서 기인한다.
참고 자료
이명천 & 김요한 (2011). 광고연구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박원우, 고동운 & 윤은성 (2010). 연구의 인과성 제고: 통제변수의 의의, 활용 현상 분석 및 제언. Seoul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