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와 광고, SK매직 식기세척기 기획서
- 최초 등록일
- 2021.10.21
- 최종 저작일
- 2020.11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Ⅰ. 기존 광고 비판
1. 시장 상황 분석
2. 기존 광고의 비판점
Ⅱ. 개선 광고 제작
1. 광고 제작 배경
2. 개선 광고 분석
본문내용
1) 전체 시장 및 트렌드
식기세척기는 국내에 수입된 지 20여 년이 넘었지만, 좀처럼 보급률이 늘지 않는 가전이었다. 1990년대 후반, 국내에 수입된 식기세척기는 서구식 식습관에 맞춰 개발된 제품들로 당시 한국식 밥그릇과 국그릇을 깨끗이 닦아내지 못하였고, 이는 한국 소비자들의 눈높이를 맞추기 어려웠다. 더불어 식기세척기는 예전부터 아파트의 빌트인(built-in) 가전으로 설치돼 이미 보유 중인 가정이 적지 않지만, 세척력에 대한 불신, 설치 공간의 제약과 전기세와 같은 에너지 문제로 인해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본격적인 식기세척기 대중화의 시작은 ‘가심비’(가격 대비 마음의 만족도)를 중시하는 소비문화, 맞벌이 가구 증가와 워라벨 문화가 보편화 되었던 2018~2019년으로 볼 수 있다. 건조기, 스타일러 등 삶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신가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식기세척기 역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국내 식기세척기 시장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고 판단한 브랜드들은 오목한 모양의 한국식 식기가 잘 세척되도록 재설계한 맞춤형 신제품들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가사노동 시간과 그 강도를 줄이려는 젊은 세대 니즈를 충족함과 동시에 오목한 모양에 적합한 한국형 식기세척기의 연이은 출시로 제품 판매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고, 이에 따라 식기세척기 시장 역시 급격히 확대되었다. 이와 더불어 2019년 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함께 살균 위생 가전에 관심이 높아지고, 가정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소비자들은 가사부담을 덜 수 있는 관련 제품을 찾게 되었다. 이는 식기세척기 시장이 다시 한번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환경적 요인의 시너지로 그동안 틈새 가전, 가치 소비 등으로 인식이 되었던 식기세척기는 2020년이 되어서 필수 생활가전으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