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선택적 노출(Selective Exposure)과 양극화(Polarization)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선택적 노출(Selective Exposure)'과 '양극화(Polarization)'에 대해 정리한 레포트입니다. 국내외 논문 약 10개(해외 논문이 90%)를 종합해 정리했으며, 참고 문헌과 영상 또한 모두 주석에 달아놨기 때문에, 이 문서만 봐도 두 개념에 대해선 완벽히 정리할 수 있을 겁니다.
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1.09.12 최종저작일 2019.07
4P 미리보기
선택적 노출(Selective Exposure)과 양극화(Polarization)
  • 미리보기

    소개

    정치커뮤니케이션의 '선택적 노출(Selective Exposure)'과 '양극화(Polarization)'에 대해 정리한 레포트입니다. 국내외 논문 약 10개(해외 논문이 90%)를 종합해 정리했으며, 참고 문헌과 영상 또한 모두 주석에 달아놨기 때문에, 이 문서만 봐도 두 개념에 대해선 완벽히 정리할 수 있을 겁니다.

    목차

    1. 선택적 노출과 양극화의 Causal direction
    2. 선택적 노출의 결과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엘리 프레이저(Eli Pariser) TED 강연 https://www.ted.com/talks/eli_pariser_beware_online_filter_bubbles?language=ko, TED 강연 은 엘리 프레이저의 저서 ‘생각 조종자들’(원제 : The Filter Bubble)에서 파생되었다.
    의 ‘필터버블(Filter bubble)’과 ‘반향실 효과(Echo chamber)’는 최근 미디어 환경을 대표하는 개념이다. 인터넷과 SNS의 발달로 이용자들의 정보 선택의 폭이 증가(H Lee & KS Hahn, 2018)했음에도 불구하고, SNS의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에 의해 이용자가 원하는 내용으로만 필터링 된 정보를 접하게 되어 필터버블에 갇히는 현상은 결국에는 한쪽 의견으로 치우친 양극화(Polarization)를 초래하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Pariser, 2011; Sunstein, 2017; Michael A, Myiah J & Jay D, 2018). 물론 선택적 노출(Selective Exposure)은 SNS의 추천 알고리즘에 의한 타의적 노출 때문만은 아니다. 페스팅거(Festinger, 1957)의 인지 부조화(Cognitive dissonance)에 따르면 미디어 이용자들은 자신들의 인지 부조화 상태를 줄이기 위해 선택적 노출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Stroud, 2014), 정보의 홍수를 이루는 온라인 환경 속에서 개인이 자신의 인지 부조화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선택적 노출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더불어 그간 많은 학자들이 인터넷 매개 커뮤니케이션이 초래할 수 있는 선택적 노출의 결과의 한 유형으로 양극화의 한 유형인 ‘집단 극화(Group polarization)’에 주목해온 것을 보면(노정규‧민영, 2012), 선택적 노출과 양극화는 디지털 매체 환경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개념이라 생각한다.

    참고자료

    · 노정규‧민영 (2012), 정치 정보에 대한 선택적 노출이 태도 극화에 미치는 효과: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언론학보, 226-248
    · Bennett, Iyengar (2008), A New Era of Minimal Effects? The Changing Foundations of Political Communic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707-731
    · Festinger (1957),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IL: Row, Peterson & Company
    · H Lee, KS Hahn (2018), Partisan selective following on twitter over time: polarization or depolarization?,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 Michael W (2019), Aanlyzing change in network polarization, New Media & Society, 1-23
    · Michael A, Myiah J & Jay D (2018), Facebook news and (de)polarization: reinforcing
    · spirals in the 2016 US elec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940-958
    · Richard Fletche, Rasmus Kleis Nielsen (2017), Reuters Institute digital news report 2017,
    · Stroud (2010), Polarization and partisan Selective exposure, Journal of communication, 556-576
    · Stroud, N. J. (2014), Selective exposure theories, In K. Kenski & K. H. Jamieson (Eds.), Oxford Handbook of Political Commun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oxfordhb/9780199793471.013.009
    · Sunstein (2017), #Republic: Divided democracy in the age of social media. Princeton, NJ:Princeton University Press
    · Pariser (2011), The filter bubble: What the Internet is hiding from you. New York: Penguin
    · https://www.ted.com/talks/eli_pariser_beware_online_filter_bubbles?language=ko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