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주제 선정 이유
최근 몇몇 코스메틱 브랜드 제품들에서 기준치 이상의 중금속 또는 유해 성분이 검출되어 소비자들의 분노를 일으킨 사건들이 많았다. 여성들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졌던 화장품이 성별의 구별 없이 사용되는 이 시대에 화장품 성분 논란은 많은 사람들에게 해당하는 이야기 였을 것이다. 나 또한 그 기사에 나온 제품을 사용하고 있던 소비자 중 한 명 이었고, 관련 논란들이 생길 때마다 분노하며 화장품 전성분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특히, 유투브에 ‘디렉터 파이’라는 유투버의 영상을 찾아보면서 관련 정보를 많이 얻었다. 피부에 직접 바르는 화장품인 만큼 성분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고, 이러한 정보를 기회가 된다면 공유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처음에는 화장품에 이러이러한 안 좋은 성분들이 있고, 이러한 부작용이 있으니 피하자는 내용을 담으려고 했다. 그런데 자료 조사를 하다 보니 유해성이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아직도 논란이 되는 성분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검색 몇 번으로 쉽게 알 수 있는 당연한 물질들 보다는 여러 연구 결과들이 상충되거나 의견이 분분한 성분들을 소개하면 보다 의미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었다. 따라서 ‘논란’이라는 단어를 붙여 여러 실험 결과들 또는 의견에 대한 내용을 담게 되었다.
Ⅱ. 유해성 논란이 있는 화학 성분들
1) 파라벤 (Parabens)
P-hydroxybenzoic acid esters로, 1930년대 미국에서 개발되어 세균 성장을 억제하고 보전 기간을 늘리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Methylpar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Butylparaben, Pentylparaben이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파라벤의 종류들이다. 화학 합성 과정에 있어서 높은 효용성과 낮은 가격으로 식품 보존제 등 널리 사용 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파라벤의 안정성이 검증되었다고 여겨져, 더욱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었고, 화장품도 이 추세에 포함된 산업이었다.
· Toxicity of cosmetic preservatives on human ocular surface and adnexal cells. (Xiaomin Chena,b, David A. Sullivana, Amy Gallant Sullivanc, Wendy R. Kama, Yang Liua,.2018, Experimental Eye Research)
· The effect of ocular lubricants containing benzalkonium chloride on nasal mucosal flora. (Ozlem Onerci Celebi & Ali Riza Cenk Celebi., 2018, Cutaneous and Ocular Toxicology)
· Addition of benzalkonium chloride to self-adhesive resin-cements: some clinically relevant properties. (Serra Oguz Ahmet, M. Murat Mutluay, Zelal Seyfioglu Polat, Roda Seseogullari Dirihan, Bulent Bek & Arzu Tezvergil-Mutluay., 2014, Acta Odontologica Scandinavica )
· 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of cosmetics industry wastewater (Elisa Dias de Melo∗., Ann H. Mounteer, Lucas Henrique de Souza Leao, Renata Cibele Barros Bahia, Izabella Maria Ferreira Campo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 Insights on in vitro models for safety and toxicity assessment of cosmetic ingredients. (Andreia Almeidaa,b, Bruno Sarmentoa,b,c, Francisca Rodriguesd,,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
· The Materials Science of Cosmetics (Steven Schnittger and Moitreyee Sinha, Guest Editors,, 2007, MRS BULLETIN • VOLUME 32)
· Oral exposure to mineral oils: Is there an association with immune perturbation and autoimmunity? (Ian Kimbera, Juan-Carlos Carrillob., 2016, Toxicology)
· Extraction induced by emulsion breaking: A model study on metal extraction
· from mineral oil (Ricardo J. Cassella., Daniel M. Brum, Nicolle F. Robaina, Claudio F. Lima., 2018, Fuel.)
· 석고 붕대 속 피부에의 미네랄 오일 도포가 피부 건조 및 소양감 완화에 미치는 효과 (백경희, 이병숙., 2003, 기본간호학회지 제 10권 제 2 호.)
· Review of data on the dermal penetration of mineral oils and waxes used in cosmetic applications (T. Petrya,., D. Buryb, R. Fautzc, M. Hauserd, B. Hubere, A. Markowetzf, S. Mishraa, K. Rettingere, W. Schuhg, T. Teicherth., 2017, Toxicology Letters.)
· Risk assessment of benzophenone-8 in cosmetic products (Min-Kook Kim, Seong-Kwang Lim, Hyo-Sun Suh, Min-Hwa Kim, Seol-Hwa Baek, Byung-Mu Lee
· College of Pharmacy, Sungkyunkwan University,, 2017)
· 대학생들의 화장습관에 따른 소변 중 벤조페논 농도 비교 (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오승은, 호성옥, 김현석, 이세훈, 박나연, 고영림., 2013,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Exposure to bisphenol A, chlorophenols, benzophenones, and parabens in relation to reproductive hormones in healthy women: A chemical mixture approach. (Anna Z. Pollacka., Sunni L. Mumfordb, Jenna R. Kralla, Andrea E. Carmichaela, Lindsey A. Sjaardab, Neil J. Perkinsb, Kurunthachalam Kannanc, Enrique F. Schistermanb., 2018, Environment International)
· Parabens and their effects on the endocrine system (Karolina Nowaka,, Wioletta Ratajczak–-Wronaa, Maria Górskab, Ewa Jabłłońńskaa., 2018, Molecular and Cellular Endocrinology)
· 립밤 발라요 말아요? (차라리 바세린이 낫다?!) by. 디렉터파이 2017
· https://youtu.be/9ES-4LfsWF0
· 뉴시스 최선윤 기자 [LG 가습기살균제 독성확인] 염화벤잘코늄, 얼마나 해로운 물질이기에?, 2016.05.18.
· 식품의약품안전처 독성정보제공시스템 ‘벤조페논’ 검색 결과
· http://www.nifds.go.kr/toxinfo/SearchUtil_getDetailChemTcd.action?hddnToxicCode=T5000000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