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과 감염관리 책 정리요약본
- 최초 등록일
- 2021.04.28
- 최종 저작일
- 2021.0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기말 지필고사를 대비하여 책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목차
1. 감염성 폐기물의 설명
2. 손상성 폐기물의 처리 과정에 대한 설명
3. 장갑사용과 폐기에 대한 설명
4. 내과적, 외과적 무균술 차이점
5. 멸균영역을 유지하는 방법(9가지)
6. 검체 수집의 일반적인 원칙(5개)
7. 가래 검체 채취법 (7가지)
8. 능동면역과 수동면역의 차이점
9. 면역글로불린 종류 및 특징
10. 항결핵제
11.C형 간염 치료제
12. 항미생물의 내성 기전
13. 세균증식저지 항생제와 살균항생제
14. 뇌수막염의 증상
15. 중이염
16. 어린이들의 중이염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인자들
17. 결막염의 원인균
18. 심내막염의 원인균과 항생제 치료
19. 카테터 혈류 감염
20. 미국감염병학회의 ‘기본적인 연조직염 치료법’ 에 대한 가이드 라인 설명 21. 급성 담낭염의 원인
22. 성병의 종류 및 설명(4개)
23.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원인
24. 상,하부 요로감염의 증상
25. 항생제(12개 계열)
26. 후두개염에 대한 설명 및 특징
27. 크룹에 대한 설명 및 특징
28. 폐렴에 대한 설명
29. 조류독감
30.생물학적 테러
본문내용
1. 감염성 폐기물의 설명
⦁감염성 폐기물이란 부적절한 취급, 운반, 저장 또는 처리로 인해 인간에게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고체 또는 액체 폐기물
⦁체액, 체액이나 혈액과 접촉한 물품이 해당
⦁반드시 장갑끼고 다루어야 함
⦁전용용기 이용해서 처리
⦁전용용기는 허가받은 폐기물 수거업체에서 제공
⦁업체를 통한 감염성 폐기물 처리는 지역 및 국가의 법 및 규정에 따름
2. 손상성 폐기물의 처리 과정에 대한 설명
⦁장갑 착용, 일회용의 손상성 폐기물 전용 용기에 버림
⦁전용 용기는 사용하기 쉬운곳에 놔둔다
⦁일회용 바늘은 재사용 없이 바로 버리기
⦁전용 용기가 3/4정도 채워졌을 때 버리기
⦁전용 용기에 기구를 억지로 넣으면 안됨
⦁부상과 폐기물 누출 예방 위해 밀봉하기
⦁일반 폐기물 상자와 절대 같이 놓여 있으면 안됨
3. 장갑사용과 폐기에 대한 설명
⦁개방법과 폐쇄법이 있다
⦁손 씻고 말리기 → 한 손으로 박스에서 장갑 꺼내고 다른 한 손을 장갑 안에 넣기 → 장갑 낀 손으로 박스에서 장갑 한쪽을 꺼내고 다른 한 손을 장갑에 넣기 → 손가락 꼬아서 딱 맞게 하기
⦁오염, 치료 끝, 다른 물품 만지기 전에는 장갑 벗기 → 장갑 벗을 때 한쪽 장갑의 손바닥 부분 단단히 잡고 뒤집어서 빼기 → 맨손을 장갑 낀 손의 손목에서부터 장갑 표면 만지지 않고 넣기 → 장갑 낀 손에 쥐고 벗기
6. 검체 수집의 일반적인 원칙
⦁무균술 사용
⦁검체는 채취 후 검사실로 바로 운반
⦁냉장보관 (혈액, 뇌척수액 배양은 예외. 실온 유지)
8. 능동면역과 수동면역의 차이점
⦁능동면역
-정의: 백신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거나, 특정 질병에 걸린 후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면역의 종류
-목적: 신체가 스스로 항체를 만들게 하는 것
-예: 인플루엔자
⦁수동면역
-정의: 이미 형성된 항체의 주입에 의해 행해지는 면역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환자에게 면역글로불린으로 불리는 이미 형성된 항체를 주사하는 것과 관련O
참고 자료
미생물과 감염관리 (수정판) ; 임상적용과 감염예방 /정문각/ 2018년 2월 20일 / 조정제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