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실험] 미생물 배양과 관찰
- 최초 등록일
- 2021.03.10
- 최종 저작일
- 2020.11
- 6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2,000원

소개글
실험을 거쳐 직접 작성한 보고서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경우에 따라 실험 재료나 실험 방법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이 보고서는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도구
4. 실험방법
5. 실험이론
1) Gram Staining
2) 그람양성균
3) 그람음성균
4) 펩티도글리칸
6. 결과
7. 고찰
8. 참고문헌
본문내용
4. 실험방법
1) 슬라이드 글라스를 알코올 램프 불꽃에서 잠깐 동안 가열시켜 유막을 제거한다.
2) DW 를 한 방울씩 슬라이드 글라스에 떨어뜨린다.
3) 각 DW 방울에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을 각각 풀어 넓게 편다.
4) 완전히 건조가 되면 Crystal violet으로 1분 동안 염색하고 DW로 세척한다. 세척을 강하게 할 경우 그람양성균도 염색되지 않을 수 있다.
5) Iodine 으로 1 분 동안 처리한 후 다시 DW 로 세척한다. 이때, Iodine 은 독성이 있으므로 조심해서 다루어야 한다.
<중 략>
5. 실험이론
5-1. Gram Staining (그람염색법)
그람염색법(Gram Staining)은 덴마크의 세균학자 Hans Gram 이 1884 년 개발한 세균 분별염색 방법이다. 세균은 크기가 작아 단순염색 방법으로는 차이를 파악하기가 어려우므로, 그람염색법을 통해 세포벽의 구조에 따라 세균을 구분한다. 세균의 미생물 유래 분자패턴을 결정하는 세포벽의 성분에 따라 염색 결과가 달라진다.
참고 자료
Lisa. A. Urry, 캠벨 생명과학 포커스, 2판, 전상학, 2017 바이오사이언스출판, 478~479쪽
미생물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그람염색”, 2020년 11월 1일
생명과학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그람염색법”, 2020년 11월 1일
미생물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그람양성균”, 2020년 11월 1일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그람음성균”, 2020년 11월 1일
미생물학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펩티도글리칸”, 2020년 1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