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험에서는 원형 단면 재료 시편의 인장 시험을 진행하고 변형률과 인가 하중을 기록하여 재료의 물성치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응력-변형률 곡선을 얻고, 이로부터 탄성 계수 값을 결정한다. 보편적인 재료인 Al6061에 대하여 실험결과로 얻은 탄성계수 값과 Engineering handbook의 Al6061 탄성계수의 값을 비교한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미지의 재료에 대하여 주어진 실험데이터로부터 여러 물성값을 계산해본다. 실험데이터를 처리하여 얻은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탄성계수 뿐만아니라 비례한도, 항복응력, 파단 응력, 네킹의 발생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Handbook은 재료의 밀도, 탄성계수, 항복 강도, 인장강도, 포와송 비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Handbook에 제시된 물성치와 비교하여 미지의 재료가 무엇인지 결정한다.
참고자료
· Goodno, B. J., & Gere, J. M. (2020). Mechanics of materials. Cengage Learning.
· RUSSELL, C. H. (2017). MECHANICS OF MATERIALS IN SI UNITS. PEARSON EDUCATION Limited.
· Karabulut, et al. (2001). Mechan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phosphate glasses.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288. 10.1016/S0022-3093(01)00615-9.
· Guenin, Bruce. (2007). Thermal strain in semiconductor packages Part II. Electron Cool. 13.
· Lai, Yu-Shu & Chen et al. (2015). The Effect of Graft Strength on Knee Laxity and Graft In-Situ Forces after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PLOS ONE. 10. e0127293. 10.1371/journal.pone.0127293.
· Buchanan C.I. Marsh R.L. Effects of long-term exercise on the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chilles tendon of guinea fowl. J Appl Physiol. 2001;90:164.
· Basit, Abdul & Farhan, Faiza & Sadaf, Saima & Akhtar, M.. (2018). Health improvement of human hair and their reshaping using recombinant keratin K31. Biotechnology Reports. 20. e00288. 10.1016/j.btre.2018.e0028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