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평 ) 루소 - 사회계약론
- 최초 등록일
- 2021.03.05
- 최종 저작일
- 2021.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사유의 개념과 발생 이론
1) 사유에 대한 관념과 그 정의
2) 과거의 인간 생활
3) 인간 생활의 발달
2. 인간 사회의 발달과 불평등
1) 인간의 가치 평가
2) 인간 사회 불평등의 원리
3) 인간의 철과 농업 발달과 사회 불평등
4) 사회 욕구와 불평등
5) 사회 법률과 불평등
본문내용
사유에 대한 관념과 그 정의
- 사유의 관념은 순차적으로만 발생할 수 있었던 이전의 많은 관념에 의존해 있으며, 인간의 정신 속에 갑자기 형성된 것이 아니다.
- 인류가 사유의 개념을 정의하기까지는 상당한 진보와 다양한 생활기술의 획득,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며 축적되어 정의된 것이다.
과거의 인간 생활
- 인간이 가진 최초의 감정은 자기 생존에 관한 것이고, 인간이 가진 최초의 배려는 자기보존에 대한 것이다.
- 당시에 행해진 번식행위는 인간의 본능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일 뿐, 원시의 인간 상태는 감정 없이 순수한 동물적인 행위로만 이러한 것들이 이뤄졌을 것이다. 특히 자식들이 부모 없이 살 게 될 때 부모 역시 자식을 아무것도 아닌 존재로 여기게 된다. 이것은 순수한 감각에 국한하여 자연의 선물 이용하지 않고 자연에서 아무것도 빼앗으려 하지 않는 동물의 생활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 이어 인간은 자연환경의 극복을 위해 인간은 도구를 사용하고 발전하게 되는데 이것은 생활 양식의 차이를 가져오게 된다. - 서식지에 따라 생활 방법이 달라진다.
- 인간은 자연스럽게 사물과 인간 상호 작용을 통해 지각력을 가지게 되어 무의식중에 신중함을 가지려고 하게 된다. 이것이 안전에 가장 필요한 경각심이 된다. 경각심 이후 인간의 자각은 우월성 증대로 이어지게 되고 이것이 자존심을 생겨나게 하였다.
- 당시의 인간은 존재의 서열을 구분하지 못하여 자신의 종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함으로 개인의 우수함을 요구하는 징조를 가지기 시작하게 된다.
-비평
하지만 태초의 인간이 정말 자식과 자연을 사용하지 않는 동물적인 생활을 하였을까 생각하였다. 제아무리 동물적인 생활을 하였다고 하여도 자식에 대한 모성애와 동족에 대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후술될 가족의 개념이 생기기 이전에도 감정이 존재하였으리라 생각하기에 이러한 추론은 극단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