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Research of Popular Culture of a Cafe and Life of its Waitress (Yeogeup) in Gyeong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1920s~1930s)

13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1.02.15 최종저작일 2017.03
13P 미리보기
Research of Popular Culture of a Cafe and Life of its Waitress (Yeogeup) in Gyeong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1920s~1930s)
  • 미리보기

    소개

    "Research of Popular Culture of a Cafe and Life of its Waitress (Yeogeup) in Gyeong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1920s~1930s)"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2. Body
    1) The Advance, Development and Extinction of Café
    2) The Reason Why People Came to Café and What They Did
    3) Who Were the Witress(Yeogeup), What They Did in café and Social Stance of Them
    4) The Popular Culture of Café as Social Issue

    3. Conclusion

    Bibliography

    본문내용

    Sparsely placed tables, heavy with cigarette smoke, full of melody of Jazz, people dancing, drinking and waitresses serving them…This is a description of café (at that time, called 'Dabang') in 1920s~1930s in Korea. After 3.1 Undong,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started so called “Cultural Government Policy”. For the effect of it, culture of drinking, eating, seeing, hearing something and decorating bodies became prevalent to people. At first, in 1920s, Japanese opened up café in bonjung and it spereaded to namchon. Successively, Korean opened up café in bukchon. In late 1920s, a cafés got popularity among Korean. In 1933, the number of it was 420 and it grows up to 802 in 1942. It sells coffee, snacks and various kinds of liquor such as whiskey, cocktail, Japanese drink, Korean refined rice wine and so on. Many people including the intellectuals (so called ‘Jisik-in’), the rich even the students come to café and spend time talking with others, smoking, listening to music,......<중 략>

    참고자료

    · Im Jeong Yeon, “A Study on Modern Love and Daily Affairs of the Intellectuals in 1920s”, Ihaweomunhakoe Vol. 24 (2007)
    · Kang Chan Ho, “The history of coffee in Korea found in the literature-focusing on the time of enlightenment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search of Tourism Vol.28 No.3 (2013)
    · Kim Nam Cheon, “The Question of Women’s Occupation”, Yeoseong Vol.5 No.12 (1940)
    · Kim Yeon Hui, “The Urban Cultural Character of Café under Japanese Colonialism”, Seoul: University of Seoul (2002)
    · Lee Myeong Seon, “A Study on forming identity of ‘New Wom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relationship between sex distinction and sexuality”, Seoul: Ihwa Women’s University (2002)
    · Nam Geyong Hwa, “(A) Study on Teaching Life History through the Intellectual Novel Writt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hungcheongbuk-do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9)
    · Suh Ji Young, “Café Waitress in Colonial Korea: An Analysis of Waitress Magazine『Yeoseong』”,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Vol.19 No.3 (2003)
    · U Ji Hyeon, “The Entry of Women in Jobs and Their Social Conflicts in 1920s and 1930s”, Seoul: Myeongji University (2009)
    · Hyeon Jin Geon, Sulgwonhaneunsahoe, 1921.
    · Park Yun Seok, Gyeongseong Modern Times, Seoul: Munhakdongnae, 2014.
    · Kim Jin Song, Seoule Ttansuhoreul Heohara, Seoul: Hyonsilmunhwa Yongu, 1999.
    · Kim Tae su, Kkotgachi Pieo Maehokke Hara, Seoul: Hwangsojari, 2005.
    · Byeolgeongon, October, 1932.
    · Dongailbo, March 10th, 1924.
    · Dongailbo, September 29th, 1929.
    · Dongailbo, November 25, 1929.
    · Gang Jeong Hui, “Is yeogeup is a workingwoman?”, Sinyeoseong, October, 1932.
    · Gyeongmuchwibo, October, 1934.
    · Jang Yeong Sun, ‘How I could become yeogeup – Don’t contempt this job’, Sinyeoseong, March, 1933.
    · Joseonilbo, January 14th, 1930.
    · Joseonilbo, January 21st, 1932.
    · Silsaenghwal, July, 1932.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