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자료 한국과 동양 서양 미술사 총정리 - 동양과 서양 미술의 흐름의 핵심요약, 미술사 핵심 정리자료
- 최초 등록일
- 2021.02.12
- 최종 저작일
- 2021.0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추천자료)) 한국과 동양 서양 미술사 총정리 - 동양과 서양 미술의 흐름의 핵심요약, 미술사 핵심 정리자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 미술의 흐름
1) 선사시대
2) 삼국시대
3) 통일신라 시대
4) 고려시대
5) 조선시대
6) 근대미술
7) 현대미술
2. 동양 미술의 흐름
1) 중국 미술
2) 일본 미술
3) 인도 미술
3. 서양 미술의 흐름
1) 선사시대
2) 이집트 미술
3) 그리스 미술
4) 로마 미술
5) 중세 미술
6) 르네상스 미술
7) 바로크 미술
8) 로코코 미술
9) 19세기의 미술
10) 20세기의 미술
본문내용
Ⅰ. 한국 미술의 흐름
❶ 선사시대 : 선사 시대는 문자가 만들어지기 이전의 시대로, 유물을 통해 당시 생활상을 알 수 있다. 구석기 시대 유물로는 뗀석기가, 신석기 시대 유물로는 빗살무늬 토기, 반구대 암각화 등이 있다. 청동기시대 유물로는 청동검, 농경무늬 등이 있다.
1 빗살무늬 토기(높이 38.1cm 신석기 시대)
*이른 민무늬 > 덧무늬 > 빗살무늬 > 덧띠 새김무늬 > 민무늬 > 미송리식 > 붉은 간토기
<중 략>
❹ 고려시대 : 통일신라 시대에 이어 불교를 숭상하여 화려하고 귀족적인 불교 미술이 발달하였다. 화려하고 정교한 불화와 신비한 비취색의 청자가 제작되었고, 부석사무량수전 등의 불교 건축물과 월정사 8각 9층 석탑 등이 남아 있다. 고려 무신 정권 때 유행한 청자는 상감청자이다.
1 서구방 (1323년경/고려) 수월관음도(비단에 채색/165.5×101.5cm/1323년 고려 시대)
2 청자 칠보 투각 향로(흙이 15.3cm/12세기 고려 시대)
3 부석사 무량수전 (경상북도 영주시/13세기 고려 시대)
- 의상이 창건한 부석사에는 주심포양식의 무량수전이 있다.
❺ 조선시대 : 유교 문화를 기반으로 한 검소하고 소박한 미술이 발달하였다. 조선 전기의 회화는 중국 북종화 풍의 영향을 받아들인 안견과 절파화풍의 강희안이 대표적이다. 조선 중기에는 사대부를 중심으로 한 수묵화가 발달하였으며, 이정, 오달제, 김명국 등이 유명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정선의 진경산수화, 김홍도와 신윤복의 풍속화, 서민의 염원과 기원을 담은 민화 등 다양한 회화 양식이 등장하였다. 도자 공예는 조선 전기에 분청사기가. 중기 이후에는 소박한 백자가 발달하였다. 건축에서는 경복궁, 수원 화성, 도산 서원, 소쇄원 등 많은 궁궐과 성곽, 서원, 정자 등이 남아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