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이 담고 있는 정보 분석과 제안 -국어사전, 영영사전, 독한사전, 한스사전을 실례로
- 최초 등록일
- 2021.01.24
- 최종 저작일
- 2015.11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언어학개론 리포트이며, 주제는 "언어사전에는 언어의 어떤 정보를 담아야 할 것인가를 실제 국어사전, 한영사전 등을 검토하면서 제안해 보십시오"입니다.
목차
1) 엣센스국어사전
2)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3) 모델 독한사전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법 설명 가운데 화용정보가 있다. 해당 어휘가 어떻게 쓰이는가를 설명하는데, 국어사전과 ‘롱맨’ 모두 아쉬운 점이 있었고, 국어사전의 경우 아쉬움이 더욱 컸다. ‘모델’과 한스사전에서는 화용정보가 전무하다시피했다. ‘모델’과 한스사전의 경우 실제 독일어나 스웨덴어 사용보다는 학교 수업을 염두에 두고 사전을 편찬해서가 아닐까 추측해본다.
한국 속담에 ‘아 다르고 어 다르다’라는 말이 있다. 같은 뜻을 지닌 유의어들이라 할지라도 미묘한 차이에 따라 쓰임새가 다른 경우가 종종 있다. 이는 영어와 독일어와 같은 외국어에서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여기서 살펴본 사전에서는 그에 대한 고려가 미흡했다.
사전에는 유의어, 반의어를 싣고, 각 유의어 간 쓰임새, 화용정보 등을 충분히 실려야겠다. 그러면 사전 분량은 크게 늘어날 것이다. 종이사전에서는 분량이 사전 제작에 부담이 되겠지만, 전자사전이나 스마트폰의 사전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큰 문제가 아닐 것이다.
참고 자료
모델독한사전(2003, 초판 8쇄), 삼화출판사.
엣센스국어사전(1996, 개정판 6쇄), 민중서림.
한국어-스웨덴어사전(2004),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유보경(2008),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효과적인 어휘 교수법에 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은혜(2014), 국내 영어 어휘 교수 방법 관련 연구 비평적 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Longman Dictionary of Cntemporary English(1995 3rd ed.), Longman Diction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