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oudie, A, 1992, Environmental Change, Clarendon Press, Oxford.
· Hu, C., Henderson, G.H., Huang, J., Xie, S., Sun, Y. and Johnson, K.R., 2008, Quantification of Holocene Asian monsoon rainfall from spatially separated cave records.
·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66, 221-232.
· Kutzbach, J. E., and Z. Liu, 1997: Response of the African monsoon to orbital forcing and ocean feedbacks in the middle Holocene. Science, 278, 440-443.
· Lehman, S. J., and L. D. Keigwin, 1992: Sudden changes in north Atlantic circulation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Nature, 356, 757-762.
· Mann, M.E., Bradley, R.S. and Hughes, M.K., 1999, Northern hemisphere temperatures during the past millennium: inferences, uncertainties, and limitations.
· Geophys. Res. Lett., 26, 759-762.
· Moore, G. W. K., G. Holdsworth, K. and Alverson, 2002. Climate change in the North Pacific region over the past three centuries. Nature, 420, 401-403.
· Paulsen, D.E., Hong-C. Li, and The-L. Ku, 2003: Climate variability in central China over the last 1270 years revealed by high-resolution stalagmite records.
· Quaternary Science Reviews, 22, 691-701.
· 강철성, 2012, 조선 초 자연재해 분석 및 구휼에 대한 연구, 한국지리학회지,1(1), 91-98
· 김문기, 2007, 17세기 강남의 소빙기 기후, 명청사연구, 231.
· 김문기, 2012,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기근과 국제적 곡물유통, 부산경남사학회, ,역사와 경계, 85. 323-367.
· 김성중, 2008, 신생대 제4기 말기의 기후변동과 원인에 대한 고찰, 지질학회지, 44(1), 63-80.
· 김연옥, 1987, “조선시대의 기후환경-사료분석을 중심으로-,” 지리학 논총, 14, 411-423.
· 윤순옥·김민지·황상일, 2014 , 한반도 고산습지의 식생환경과 역사시대 기후변화, 한국지형학회지, 21(4), 69-83.
· 윤순옥·김민지·황상일, 2013, 점봉산 고산습지의 화분분석과 홀로세 후기 기후변화, 한국지형학회지, 20(4), 101-115.
· 제주도, 1997, 제주의 오름. 483.
·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http://sillok.history.go.kr
· 지옥미·우경식, 1995, 제주도 해빈퇴적물의 구성성분. 해양학회지, 30, 480-492.
· 지효선·우경식·양동윤, 2010, 제주도 용천동굴 석순(YC-2)에 기록되어 있는 한반도의 소빙하기, 한국기상학회, 20(3), 261-271.
· 통계청, www.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