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수질조사분석
- 최초 등록일
- 2020.12.20
- 최종 저작일
- 2020.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하천수질조사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수질측정분석
1) 연도별 수질측정분석
2) 2019년 월별 수질측정분석
II. 수질 개선방안
본문내용
제주도 하천은 한라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남북 방향으로 발산하는 형태로 분포하고 있으나, 서부지역은 한라산 능선의 말단부에 위치하면서 사면경사가 완만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평탄한 용암대지로 이루어져 있어 상대적으로 하천의 발달이 미약한 편이다. 따라서 제주도의 하천은 제주와 서귀포를 중심으로 남, 북부 지역에 지방하천과 소하천을 포함하여 총 143개가 분포하고 있다. 이들 하천 중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제일 가까운 하천인 외도천을 중심으로 본 레포트에서 연구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2015~2019년도의 수질오염도와 2019년도 월별 수질을 분석하였다.
I. 수질측정분석
1) 연도별 수질측정분석
제주도 내의 하천과 계곡의 수질은 다른 하천에 비해 상당히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다.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외도천을 비롯한 하천 10군데와 영실계곡 등 4군데를 대상으로 수질조사를 실시한 경로가 대체적으로 양호한 수질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그림1]은 외도천의 BOD의 수치를 나타내며, 이는 물 속의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산소 요구량을 볼 수 있다. 외도천의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가 L당 0.3~0.6mg으로 수질환경기준의 1등급 수질을 보였다. COD는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뜻하는데 0.8~1.1mg으로 COD 또한 1등급으로 분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 자료
변명섭, ‘수생식물을 이요한 수질정화’, 국립환경과학원 [인용일자: 2020.11.12.]
물환경정보시스템, ‘수질 및 수생태계 환경기준’ [인용일자: 2020.11.12.]
http://water.nier.go.kr/front/waterEasy/policy01.jsp
제주투데이, ‘제주 하천수질’대체로 양호‘, 그런데 대장균수가?’ [인용일자: 2020.11.12.]
http://www.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08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