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 사드배치와 국제관계
- 최초 등록일
- 2020.11.12
- 최종 저작일
- 2020.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자료 사드배치와 국제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드(THADD)의 정의와 배치의 배경
1) 사드란 무엇인가?
2) 사드배치의 배경
3. 사드배치와 국제적 관계(關係)
1) 한국-중국-미국의 입장
⑴ 한국의 입장
⑵ 중국의 입장
⑶ 미국의 입장
2) 사드배치에 따른 주요사안
⑴ 사드배치 이 후, 한중 관계와 사드보복
⑵ 사드배치 이 후, 한미 관계
4. 결론
본문내용
대한민국은 휴전국가로 북한의 미사일과 핵실험으로 안보에 큰 위협을 받아왔다. 2016년 대한민국은 국민의 안보를 위해 사드배치 문제를 미국과 공식 협의에 착수하였다. 한국의 사드 배치는 국제사회 시각으로 북한과의 전쟁 가능성을 인정하는 행동으로 간주 되었고 사드 배치를 통해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려는 것으로 비쳐졌다. 당시 북한과의 교류를 지속적으로 해왔던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북한과의 교류가 있는 나라로부터 한국에 보복을 하겠다는 소식들이 들려왔다. 이에 중국이 가장 강하게 반발을 하였고, 한국기업과 한국 연예인들의 중국프로그램을 제한하는 등 사드 배치에 대한 압박을 강하게 하였다. 중국이 반발한 이유는 한국이 사드배치를 하면 미군이 사드의 레이더를 통해 중국 영토를 감시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사드배치로 인해 양국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한국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사드갈등해결의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에서의 사드배치는 단순히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대한 위협을 방어하기 위해 배치한다는 의미를 초월한다.
참고 자료
김태우, 「사드(THAAD) 배치와 한미 및 한중관계 전망」, JPI정책포럼
한재진 외 3명, 「사드 배치에 따른 주요 이슈와 전망」, 현대경제연구원
이혜정, 「동맹의 결정:사드 와 한미 동맹 미국 패권」, 의정연구 제23권 제3호(통권52호)
이효영, 「중국의 사드(THAAD) 무역보복과 우리 정부의 대응 방안」, 국립외교원
정진영, 「중국의 사드 보복과 한중 관계의 미래」, 정세와 정책 2017년 4월호
오로라, 「사드란 무엇인가」, 조선일보, 2016.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