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클로라페님콜과 이소니아지드 문헌고찰 (감염미생물과 간호)

"클로라페님콜과 이소니아지드 문헌고찰입니다. "에 대한 내용입니다. 문헌고찰 참고용으로 좋습니다.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11.02 최종저작일 2020.06
15P 미리보기
클로라페님콜과 이소니아지드 문헌고찰 (감염미생물과 간호)
  • 미리보기

    소개

    "클로라페님콜과 이소니아지드 문헌고찰입니다. "에 대한 내용입니다.
    문헌고찰 참고용으로 좋습니다.

    목차

    1. 클로라페님콜(Chloramphenicol)
    1) 발견
    2) 작용기전
    3) 내성 발성기전
    3) 감염증 치료
    4) 부작용
    5) 주의사항
    6) 재사용을 위한 시도

    2. 이소니아지드(Isoniazid)
    1) 조제
    2) 약리작용
    3) 결핵 치료와 이소니아지드
    4) 효능 · 효과
    5) 용법
    6) 금기
    7) 주의사항
    8) 부작용
    9) 상호작용
    10) 소아, 청소년 사용
    11) 고령자 사용
    12) 임부·수유부 사용
    13) 약제 감수성 결핵과 이소니아지드
    14) 이소니아지드 단독 내성결핵의 치료
    15) 다제내성 결핵과 성실한 약물 복용의 중요성

    본문내용

    3) 내성 발성기전

    의료용과 농업용 항생제의 지속적 사용은 항생제 내성의 출현이라는 전지구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클로람페니콜에 대한 내성과 민감도 감소도 빈번하게 관찰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다음과 같은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1) 표적물질의 돌연변이 또는 구조변화

    이는 세균 클로람페니콜 내성발생의 일반적인 기전 중 하나로, 23S rRNA의 V 도메인 내 돌연변이와 A2503의 메틸화에 의해 강한 클로람페니콜 내성이 생긴다. 리보솜 단백질의 돌연변이나 결실도 내성발생의 원인이지만 빈도는 낮다. 또한 rRNA와 리보솜 단백질 돌연변이의 동시 발생에 의해서도 내성이 증가한다.

    (2) 효소에 의한 클로람페니콜 불활성화

    클로람페니콜 내성 발생의 가장 흔한 방식으로, O-phosphorylation, p-nitrophenylserinol의 가수분해, 질소환원(nitroreduction) 등도 있지만, 아세틸기전이효소(acetyltransferase, CAT)에 의한 클로람페니콜의 아세틸화(acetylation)가 주된 불활성화 방식이다. 모든 아세틸기전이효 소는 유사한 방식으로 클로람페니콜을 불활성화시키는데, 클로람페니콜이 O-acetylation되면 세균의 리보솜에 결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3) 투과장벽

    클로람페니콜은 세균 외막에 존재하는 구멍형성 포린(pore-forming porin)을 통해 세포주변질(periplasm)에 들어가므로 약물의 분자치수가 투과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돌연변이 등으로 외막의 구조가 변하거나 유도체 합성 과정 등으로 클로람페니콜의 구조가 변하면 세포 내 침투능이 감소하여 약물 내성이 나타난다.

    (4) 방출체계

    세균이 능동적으로 클로람페니콜을 세포 바깥으로 방출하는 과정에는 특이방출체계(specific efflux system)와 다중약물방출체계(multi-drug efflux system)가 작용한다. 클로람페니콜 특이방출체계로 8가지 종류가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의 다중약물방출체계도 클로람페니콜을 방출할 수 있다.

    참고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0266&docId=5733588&categoryId=60266
    · 네이버 미생물학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1232&docId=5894604&categoryId=61232
    · 네이버 생화학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0266&docId=5733588&categoryId=60266
    · 네이버 건강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8484&docId=3439840&categoryId=58484
    ·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9913&docId=4357356&categoryId=59913
    · 내과전공의를 위한 진료지침, 감염분과
    · https://www.kaim.or.kr/major/file/07.pdf
    · 최낙언의 자료보관소
    · http://www.seehint.com/word.asp?no=13083
    · 약학정보원 약물백과
    · http://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ED%95%AD%EA%B2%B0%ED%95%B5%EC%A0%9C.pdf
    · 폐결핵 치료의 최신지견 by.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중앙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 https://jkma.org/search.php?where=aview&id=10.5124/jkma.2019.62.1.25&code=0119JKMA&vmode=REF
    · 유한양행
    · http://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4507
    · 메디컬 웹툰_독하디 독하다는 결핵약에 대해 알아봅시다
    ·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6585
    · Edwards, Keith H. (2009). 《Optometry: Science, Techniques and Clinical Management》 (영어). Elsevier Health Sciences. 102쪽. ISBN 978-0750687782.
    · “Chloramphenicol”.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 Pongs, O. (1979). 〈Chapter 3: Chloramphenicol〉. Hahn, eFred E. 《Mechanism of Action of Antibacterial Agents》. Antibiotics Volume V Part 1. Berlin, Heidelberg: Springer Berlin Heidelberg. 26–42쪽.
    · Blumberg HM, Burman WJ, Chaisson RE, Daley CL, Etkind SC, Friedman LN, Fujiwara P, Grzemska M, Hopewell PC, Iseman MD, Jasmer RM, Koppaka V, Menzies RI, O'Brien RJ, Reves RR, Reichman LB, Simone PM, Starke JR, Vernon AA. American Thoracic Society;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American Thoracic Society/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treatment of tuberculosi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3;167:603–662.
    · 그림. 이소니아지드 조제
    · T. P. Sycheva, T. N. Pavlova and M. N. Shchukina (1972). “Synthesis of isoniazid from 4-cyanopyridine”. 《Pharmaceutical Chemistry Journal》 6 (11): 696~698. doi:10.1007/BF00771896.
    · 그림. 세균의 ribosome 구조 (출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