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사형제 폐지론에 대한 고찰

"사형제 폐지론에 대한 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3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10.26 최종저작일 2018.05
30P 미리보기
사형제 폐지론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Ⅱ. 사형의 역사와 인권의 대두
    1. 사형제도의 변천
    2. 인권의 대두와 사형

    Ⅲ. 사형존치론자의 입장
    1. 사형존치론
    2. 국민여론과 법 감정, 그리고 사법부의 입장
    3. 위하력과 피해방지

    Ⅳ. 사형폐지론의 당위성
    1. 사상적 당위성
    2. 사형제의 위헌성 여부
    3. 사법부의 오판 가능성

    Ⅴ. 사형의 단계적 폐지와 대체형의 검토
    1. 단계적 사형제 폐지
    2. 사형대체형의 검토
    3. 상대적 종신형의 도입

    Ⅵ. 결론

    본문내용

    법의 역사를 살펴볼 때 우리가 현재 살아가고 있는 현대사회의 법은 체계적이며 가장 합리적인 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대륙법계·영미법계를 불문하고 그러하다.

    현대사회의 법은 고대와 중세의 법을 거쳐 근대시기 나폴레옹 법전을 시작으로 바이마르 헌법, 국제법의 발전등 여러방면으로 발전해왔다. 과거의 법과 현대의 법에 가장 큰 차이가 무엇이냐고 묻는 다면 인간의 기본권과 천부인권사상이 법에 내재되고 실질적으로 실현되고 있는 지 여부가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인류의 역사는 큰틀에서 볼때 사회적 발전이었다. 따라서 당대의 권력자들은 효율적인 통치체계를 갖추기 위해 법이라는 것을 만들었다. 고대의 함무라비 법전, 중세의 교회법등 그 외에 국가라는 것 자체가 없던 시절에도 무리의 법이라는 것은 존재했는 데, 복수시대,위하시대,박애시대 등 어떠한 시대에서도 공통적인 것은 바로 범죄와 형벌은 불가분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형벌의 대다수가 그렇지만 그 중에서도 인간의 생명권을 박탈하는 형벌인 사형은 형벌 중에서도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사형은 합법적으로 타인의 생명권을 박탈시키는 의미에서 생명형이며 인류역사를 통틀어 현대에 이르기 까지도 형벌 중에서도 최고형, 즉 극형의 위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회구성원들은 자신의 생명을 박탈당하게 되는 사형에 두려움을 가져 범죄를 저지르기를 꺼려하는 이른바 범죄억제력을 가지게 된다고 믿었다. 그런데 20세기 중후반에 이르러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인 인권의 보장을 원하는 시대의 요구는 사형제도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다.

    인간의 기본권 중에서도 최고의 법익과 가치를 가진 것은 다름아닌 생명권이라고 할 수 있는 데 이 생명권은 어떠한 상황이 있어도 침해될 수 없는 천부인권 중 하나로써 헌법 제 37조 2항에서 말하는 ‘필요한 경우’에도 제한할 수 없는 본질적인 권리라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 김명기「국제인도법상 국제적십자운동 기본원칙의 법적 구속력」, 인도법논총, 3-18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5
    · 김창군「일반예방이론에 대한 비판적 조감」, 법학연구, 27, 195-219
    · 한국법학회2007
    · 남기호
    · 「칸트의 형벌이론에서의 사형제 폐지가능성」, 사회와 철학, (22), 121-160
    · 사회와 철학 연구회2011
    · 박영숙「사형제도에 관한 연구 - 사형제도 존치론적 입장에서
    · : 사형제도에 관한 연구」, 矯正福祉硏究 第13號, 85-100한국교정복지학회
    · 2008
    · 박용철「비교법논문 : 미국의 사형제도 개괄」, 비교형사법연구, 335-355
    · 한국비교형사법학회2010
    · 이강천「사형폐지의 당위성과 대체형에 관한 연구 = 사형폐지」호남대학교 대학원2013
    · 이경열「종극(終劇) 사법살인: 사형법제의 폐지를 위한 보론(補論)」, 139-172한국비교형사법학회2015
    · 이덕인「사형제도에 대한 연구」, 『형사정책』22권 1호, 293-318
    · 한국형사정책학회2010
    · 조국「사형폐지 소론」, 刑事政策 제20권 제1호
    · 한국형사정책학회 2008
    · 조국「사형폐지를 위한 단계적 실천방안 제언」, 인권복지연구 제 4호, 157-171
    ·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 2008 천정환
    · 「조국교수의 사형 폐지론에 대한 천정환의 반론 및 사형수에 대한 교정복지론」, 矯正福祉硏究 第12號
    · 한국교정복지학회 2008
    · 최은하「사형집행인의 심리변화와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교정담론, 137-166
    · 아시아교정포럼2011
    · 한인섭「사형제도의 문제와 개선방안」 ,『형사정책』제5호, 23-50
    · 한국형사정책학회 1991
    · FN스타
    · 「여야 의원 172명, 사형 조항 ‘사면 없는 종신형’ 대체 법안 발의」2015.7.6
    · http://star.fnnews.com/archives/29124
    · 가톨릭신문
    · 「종교·인권·시민사회 단체, 사형집행 중단 16주년 공동성명」2014.1.5
    · http://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258997
    · 국제앰네스티
    · 「2017년 연례사형보고서 발표」2018.4.12
    · https://amnesty.or.kr/25078/
    · 뉴스통신
    · 「사형수들의 기약 없는 수감생활...감형이라는 실낱같은 희망」2018.4.12
    ·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418496
    · 데일리한국「국민 10명 중 5명 "사형제도, 실제로 집행하는 게 바람직」
    · 2017.11.6
    · http://daily.hankooki.com/lpage/politics/201711/dh20171106093017137430.htm
    · 동아일보「사형-종신형, 어떤게 더 잔인한가」2005.6.29
    · http://news.donga.com/3/all/20050629/8204937/1
    · 동아일보
    · 「이상혁 대표 “죄수들은 사형보다 종신형 더 무서워해”」2017.12.26
    · http://news.donga.com/Main/3/all/20171226/87897462/1
    · 연합뉴스「사형제 토론회..존폐 양론 '팽팽'」2009.2.1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2509877
    ·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고려사 권84 지 권제38 형법1
    · http://db.history.go.kr/KOREA/item/level.do?itemId=kr&bookId=志&types=r#detail/kr_084r_0010_0010
    · 한국사
    · 데이터베이스 고려사 권84 지 권제38 형법1 간비
    · http://db.history.go.kr/KOREA/item/level.do?itemId=kr&bookId=志&types=r#articleList/kr_084r_0010_0060
    ·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 조선왕조실록 태조 1권 1년 7월 28일 3번째 기사
    ·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107028_003
    · 헤럴드경제
    · 「[고령화시대의 그늘, 노인범죄] 노인 성범죄 지난해 1500건 육박, 10년새 6배 늘었다”」2014.10.2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41002000171&md=20141005004432_BL
    · 성낙인「헌법학입문 제6판」법문사2016
    · 도미야 이타루(손승희 역)「동아시아의 사형」영남대학교출판부2014
    · 박종선「형사소송법」삼진프린트2017
    · 오영근「형법총론」박영사2018
    · 이백철「교정학」교육과학사2016
    · 이익선「법학개론」하이안북스 2017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