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학, 매스미디어] 세계통신사의 현황과 기능, 역기능
- 최초 등록일
- 2003.11.24
- 최종 저작일
- 2003.11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통신사란 무엇인가?
1) 통신사의 종류
2) 통신사의 조직
3) 통신사의 생성
2. 통신사의 기능과 역할
3. 주요통신사 현황
1) 프랑스의 AFP 통신사
2) 영국의 Reuters 통신사
3) 미국의 AP 통신사
4) 미국의 UPI 통신사
5) 러시아의 ITAR-TASS 통신사
6) 일본의 교도통신사
7) 중국의 신화통신사
8) 한국의 연합통신사
4. 국제통신사와 신국제정보질서
1) 문제의 생성기
2) 긴장고조와 갈등기
3) 타협과 긴장완화기
4) 소강상태기
* 신국제정보질서에의 대응
5. 통신사의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통신사란 무엇인가?
신문사들은 독자적으로 뉴스를 취재하기 위해 많은 취재기자들을 고용하고 있다. 다른 지역에는 주재기자들을 두고 있으며, 외국의 주요한 도시에는 해외 특파원을 파견하거나 현지에서 통신원을 고용해 주기적으로 기사를 받는다. 그러나 각 신문사들이 국내외의 모든 지역에 기자들을 모두 파견할 수 없을뿐더러 취재 비용도 너무 많이 든다.
그래서 신문사들은 취재기자를 보내는 대신에 통신사라는 뉴스 제공기관과 계약을 맺고 뉴스를 공급받아 싣는다. 신문에 나는 기사라고 해서 그 신문사에서 다 만든 것이 아닌 셈이다. 통신사란 뉴스를 수집해서 신문이나 방송사에 공급해주는 기관이다. 뉴스를 수집하는 기관이라는 점에서는 다른 매체들에 공급해주는 뉴스의 도매상 역할을 한다. 비교적 규모가 작은 신문에서도 우리가 세계 구석구석에서 일어나는 소식을 접할 수 있는 것은 통신사가 신문사의 취재 작업을 분담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일간지들은 연합뉴스라는 통신사에게서 자신들이 모두 취재할 수 없는 외신기사를 주로 받아 싣는다. 물론 규모가 큰 중앙일간지들도 통신사 기사를 맡아 싣는다. 이들은 외국의 중요한 도시마다 특파원을 두고 있지만, 그래도 일일이 취재하지 못하는 기사가 많기 때문이다. 지방지들은 서울이나 다른 지역에 기자들을 다 두기 어렵기 때문에, 국내 뉴스에서도 통신사 기사를 많이 이용한다.
참고 자료
김영욱외, "미디어 환경 변화와 뉴스통신사의 새로운 역할"(한국언론재단), 2001년 10월
이정춘, "언론학 원론"(서울: 이진), 2000년 3월
임영호, "신문원론"(서울: 연암사),2000년 2월
최창섭외, "교양 언론학 강좌"(서울: 범우사), 1997년 10월
http://www.kp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