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국가가 장애인 성욕을 책임질 의무

국가가 장애인 성욕을 책임질 의무를 국가관과 심리학에 근거하여 설명합니다.
1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09.18 최종저작일 2020.05
10P 미리보기
국가가 장애인 성욕을 책임질 의무
  • 미리보기

    소개

    국가가 장애인 성욕을 책임질 의무를 국가관과 심리학에 근거하여 설명합니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성문헌법(대한민국 헌법, 미국 독립선언서)
    2. 매슬로의 욕구 계층 이론
    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III. 이론적 적용
    1. 대한민국 장애인 결혼 상태 - 성별, 연령별, 장애정도별
    2. 네덜란드의 성매매 지원금
    3. 일본의 화이트핸즈

    IV. 결론

    V. 참고문헌

    본문내용

    얼마전 SNS에서 장애인의 성욕을 해결해주는 일본의 봉사단체 “화이트핸즈”와 간단한 소개 글을 보게 되었다. 몸을 제대로 움직일 수 없는 중증 장애인일수록 성욕이 강하다고 한다. 일반인들은 다른 활동을 하기 때문에 성욕이 분산되지만 장애인들의 경우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에 더욱 충실하게 되는 것이다. 필자는 당연한 현상이라고 생각했으나 게시물에 응답한 대부분의 여성들의 반응은 “더럽다” 였다. 하지만 필자의 생각은 다르다. 성욕이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 기본적인 이유는 식욕이나 수면욕처럼 단방향적으로 작용해서가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 애착, 사회 등 모든 요소에 연결되는 바로 그 쌍방향적 긴밀성 때문이다. 장애인 또한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정상적, 사회적 성생활을 통해 “존엄과 가치를 지니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종종 성욕의 존재를 근거로 들어 인간은 단지 다른 동물보다 비교적 지능만 조금 높을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인간의 성욕은 다른 동물들의 번식욕과는 상이한 복합적 기능으로, 이러한 성욕의 존재로 인해 인간이 다른 동물과는 달리 정서적으로 진화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성욕은 다른 욕구가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생활에 대한 긴밀성이 강해서 행복감, 생존, 사회, 애착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분위기나 사회적 통념과는 관계없이 욕구 충족에 기본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렇다면 국가는 장애인의 성욕을 책임 질 의무가 있다고 볼 수 있을까. 복지정책의 목적은 주로 불평등 완화와 사회적 약자 보호다. 복지국가는 자율과 경쟁을 기본 원리로 여기는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지향할 수도 있지만, 지나친 사회적 갈등과 불평등 심화로 체제가 위협받는 것을 방지하려는 보수주의적 관점에서도 지향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헌법에는 국민의 행복추구권이 잘 명시되어 있다. 더욱이 복지국가의 경우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의 기본권(행복)을 더욱 추구한다. 따라서 본 리포트는 국가가 장애인의 성욕을 책임져야 할 의무가 있는지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다.

    참고자료

    · American History Resources, 「버지니아의 권리장전」, 한국 미국사학회, 2020.06.07
    · http://www.americanhistory.or.kr/book/link/d-1776.htm
    · CAIROS, 「I-2. 17세기 네덜란드의 주권적 신학체제와 신학적 주권체제」, CAIROS: 비평루트 Root/Route, 2020.06.05
    · https://cairos.tistory.com/33
    · Center for Civic Education, 「Terms to Know」, Center for Civic Education, 2020.06.03.
    · https://www.civiced.org/resources/curriculum/911-and-the-constitution/terms-to-know
    · Marika J. Hess, Sigmund Hough, 「Impact of spinal cord injury on sexuality:
    · Broad-based clinical practice interven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NCBI, 2020.06.06.
    ·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425877/
    · White hands, 「障害者の性」問題」, White hands, 2020.06.07
    · https://white-hands.jp/activity/disability/
    · 김상현, 「『인간지성론』 해제 요약」, 네이버 지식백과, 2020.06.06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98650&cid=41908&categoryId=41922
    · 위키백과, 「미국 독립선언」, 위키백과, 2020.06.03
    ·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A%B5%AD_%EB%8F%85%EB%A6%BD%EC%84%A0%EC%96%B8
    · 네이버 지식백과, 「NANDA」, 의학 · 간호 약어해설사전, 2020.06.06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133303&cid=60408&categoryId=59580
    ·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계약설」, 한림학사, 2020.06.06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60385&cid=47323&categoryId=47323
    · 네이버 지식백과, 「욕구 단계 이론」, 심리학용어사전, 2020.06.06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70231&cid=41991&categoryId=41991
    · 네이버 지식백과, 「타나토스」, pmg 지식엔진연구소 시사상식사전, 2020.06.06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3090&cid=43667&categoryId=43667
    · 네이버 지식백과, 「행복추구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20.06.06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7233&cid=46625&categoryId=46625
    · 미국 정신분석 학회, 「리비도 이론」, 정신분석용어사전, 2020.06.06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5806&cid=48639&categoryId=48639
    · 매슬로 욕구계층이론 이미지 출처
    · https://www.pinterest.co.kr/KentIslandSusan/maslows-hierarchy-of-needs/
    · 박아영, “장애인들에게 1년에 12번 합법적으로 ‘성매매’ 지원금 주는 네덜란드”, 인사이트, 2019.11.27
    · https://www.insight.co.kr/news/256730
    · 유은정, 「미국 헌법문서의 행복 및 안전에 관한 권리의 검토 - 우리 헌법상 행복추구권의 새로운 해석 가능성 -」, 『법학논총』, 2016. 01, p.1
    · 위키백과, 「죽음 충동」, 위키백과, 2020.06.07.
    · https://ko.wikipedia.org/wiki/%EC%A3%BD%EC%9D%8C_%EC%B6%A9%EB%8F%99
    · 조윤화⦁김용진⦁오윤지⦁왕영민⦁김태용, 『2019장애통계연보』, 한국장애인개발원, 2019.12.05, p.72
    · 주 네덜란드 대사관, 「네덜란드 정치 (2)」, 주 네덜란드 대한민국 대사관, 2020.06.07
    · http://overseas.mofa.go.kr/nl-ko/brd/m_7069/view.do?seq=1254059&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1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