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대궤범, 여러 황달, 황한, 소문, 금궤, 제달방, 치자대황탕, 계지가황기탕, 저고발전, 인진오령산, 대황초석탕, 마황순주탕, 황달방, 적령산, 한수석산, 여로달, 우담전, 구급삼십종황방, 료황달방, 근효과체산, 마황연교적소두탕, 황기작약계지고주탕.hwp
- 최초 등록일
- 2020.09.11
- 최종 저작일
- 2020.09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麻黃連軺赤小豆湯 《傷寒論》
마황연교적소두탕 상한론
翹의 원문은 軺(수레 초; ⾞-총12획; yáo,diāo)
治傷寒瘀熱在裏, 身必發黃, 此主之。
상한의 어열이 리에 있으면 몸이 반드시 발황하니 이 마황연교적소두탕으로 주치한다.
麻黃二兩 連軺二兩 赤小豆一升 杏仁四十粒 甘草二兩 生梓白皮一升 生薑二兩 大棗十二枚
마황 80g, 연교 80g, 적소두 1되, 행인 40알, 감초 80g, 생재백피 1되, 생강 80g, 대추 12매
右以潦水一斗, 先煮麻黃去沫, 內諸藥, 煮取三升。
潦(큰비 료{요}; ⽔-총15획; liáo,lǎo,liǎo)水:사람이 살지 않는 산골의 우묵한 곳에 고인 물. 갑자기 비가 오면서 땅에 고인 물
위 약재를 1말을 먼저 마황을 달여 거품을 제거하고 여러 약을 넣고 달여 3되를 취한다.
分溫三服。
따뜻하게 3번 나눠 복용한다.
(此方治傷寒餘邪未盡之黃, 與諸證㣲別。)
㣲(작을 미; ⼻-총14획; *)
이 처방은 상한 남은 사기가 아직 다하지 않은 황달을 치료하니 여러 증상과 약간 구별된다.
黃芪芍藥桂枝苦酒湯 《金匱》
황기작약계지고주탕 금궤
黃汗之爲病, 身體腫, 發熱汗出而渴, 狀如風水, 汗沾衣, 色正黃如蘖汁, 脈自沈, 以汗出入水中浴, 水從汗孔入得之, 此湯主之。
황한이 질병이 됨에 신체가 붓고 발열로 땀이 나고 갈증이 생기며 풍수와 같은 증상이 있고 땀으로 옷을 적시고 황색이 황백즙과 같고 침맥이면서 땀이 나서 물에 들어가 목욕하고 물이 땀구멍을 따라 들어오면 이 처방이 주치한다.
黃芪五兩 芍藥三兩 桂枝三兩
황기 200g, 작약 120g, 계지 120g
右三味, 以苦酒一升, 水七升, 相和煮取三升。
위 3약미를 고주 1되를 물 7되로 섞어 3되가 되게 달인다.
溫服一升。
따뜻하게 한 되 복용한다.
當心煩, 服至六七日乃解。
심번하면 6,7일 복용해야 해소된다.
若心煩不止者, 以苦酒阻故也。
만약 심번이 그치지 않으면 고주가 막기 때문이다.
(一方以美生醯代苦酒, 此病在表不在裏。)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