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대궤범, 허로, 금궤, 제병원후론, 허로방, 계지가용골모려탕, 서여환, 대황자충환, 치몽설정방, 달간, 구급료수질방, 구건방, 전시로방, 진교별갑산, 진교부영탕, 십미전, 서각자하거환.
- 최초 등록일
- 2020.08.25
- 최종 저작일
- 2020.08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난대궤범, 허로, 금궤, 제병원후론, 허로방, 계지가용골모려탕, 서여환, 대황자충환, 치몽설정방, 달간, 구급료수질방, 구건방, 전시로방, 진교별갑산, 진교부영탕, 십미전, 서각자하거환.hwp 한문 및 한글번역
목차
1. 허로
2. 금궤
3. 제병원후론
4. 허로방
5. 계지가용골모려탕
6. 서여환
7. 대황자충환
8. 치몽설정방,
9. 달간
10. 구급료수질방
11. 구건방
12. 전시로방
13. 진교별갑산
14. 진교부영탕
15. 십미전
16. 서각자하거환
본문내용
금쇄단 본사방
治夢泄遺精, 關鎻不固。
금쇄단은 몽정, 유정, 빗장으로 채우듯 견고하지 못함을 치료한다.
茴香 葫蘆巴 破故紙 炒 白龍骨 各一兩 木香 一兩五錢 胡桃(三十個, 研膏) 羊腎(三對, 切開用鹽擦, 炙熱, 搗膏)
회향, 호로파, 볶은 파고지, 백용골 각 40g, 목향 60g, 갈아 고약만든 호도 30개, 한쌍으로 잘라 소금을 써 문지르고 구워 열을 내고 찧어 고약을 만든 양콩팥
右爲末, 和二膏研勻, 酒浸煮熟, 丸桐子大。
위 약재를 가루내어 2고약으로 고르게 갈아 술로 담가 달여 익히며 오동나무 씨 크기로 환을 만든다.
每服三五十丸、鹽湯下。
매번 30, 50환을 소금탕으로 복용한다.
金鎻正元丹 《局方》
금쇄정원단 화제국방
治眞氣不足, 元臟虛弱, 四肢倦怠, 百節酸疼, 精神昏困, 手足多冷, 心忪盜汗, 飲食減少, 小便滑數, 遺精曰濁。
*損의 원문은 弱이다
*忪(당황할 종{심심할 송}; ⼼-총7획; sōng,zhōng)
진기가 부족, 원장이 허약, 사지가 권태, 모든 관절이 시큰거리며 아픔, 정과 신이 혼권, 손발이 참이 많고, 몸이 당황하며 도한이 나며, 음식먹음이 감소, 소변이 활삭, 유정과 백탁
五倍子 茯苓 各八兩 補骨脂(十兩, 微炒) 紫巴戟 去心 葫蘆巴 炒 蓯蓉(洗淨, 各一斤) 硃砂 (別研) 龍骨(各三兩)
오배자, 복령, 각 320g, 약간 볶은 보골지 400g, 심을 제거한 자색 파극, 볶은 호로파, 세정한 육종용 각 600g, 따로 간 주사, 용골 각 120g
右爲細末, 入研令勻, 酒糊爲丸, 如桐子大。
위 약재를 곱게 가루내어 넣고 고르게 갈아 오동나무 씨 크기로 술과 풀로 환을 만든다.
每服十五丸至二十丸, 空心食前溫酒或鹽湯下。
매번 15환에서 20환까지 빈속에 식전에 따뜻한 술이나 혹은 소금탕으로 연하한다.
犀角紫河車丸 《寶鑑》
서각자하거환 보감
治傳尸勞, 三月必平復, 其餘勞症卽消。數服神效。
*傳尸勞:1 노채충(勞瘵蟲)이 폐(肺)에 침입하여 생긴 전염성을 띤 만성소모성 질병을 이르는 말임 2 허손(虛損)의 중증을 이르는 말임
참고 자료
흠정사고전서 자부 오 의가류 53, 대성문화사, 난대궤범, 서영태(徐大椿) , 페이지 388-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