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준우,김용구.사이버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만족에 미친 영향. 디지털정책연구,제8권 제3호,pp.115-127,2010.
· 박건희.무용전공 학생의 교육서비스 품질 지각이 학생만족 및 관계마케팅에 미치는 영향,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제48권 제6호,pp.463-473,2009.
· 박선용.교육서비스 질,학생만족,행동의도의 영향관계.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11.
· 박주성,김종,신용섭.대학교육서비스 품질 요인이 학생만족,재입학 의도 및 구전 효과에 미치는 여향,한국마케팅저널,제4권 제4호 pp.51-71,2002.
· 신재인,정기한.교육기관의 서비스품질,학생만족,구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7권 제1호,pp.231-256, 2007
· 양태식.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5.
· 엄경아.대학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대학형태와 인구통계 비교연구를 중심으로.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7.
· 오지은,김대권.대학교육 서비스품질 평가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관광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한국호텔경영학회,제17권 제6호, pp.221-239.
· 유연숙.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과 진로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6.
· 유재갑.대학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강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2011.
· 이인경.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이 전문대 학생의 재등록 의도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동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2013.
· 이종만,웬칵빈.베트남 평생교육 체제에 관한 연구,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8권,제4호,pp.187-214,2006.
· 정현화.대학교육서비스 품질,학생만족,행동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9.
· 최명철.관광교육 서비스 품질과 참여자 관계성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4.
· 최은희.온라인 사용후기가 패션 브랜드 태도도아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성신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6.
· 허정옥.환경의 변화를 연주하는 마케팅 리더들,마케팅,제39권 제9호, pp.26-33,2005.
· 홍성헌.교육서비스수출 촉진을 위한 한국 대학교육 평가요인에 관한 연구:중국인 유학생관점에서.통상정보연구,제13권 제4호, pp.463-484,2011
· 강호상 외 3인, 1997, 경영대학원 교육에 대한 평가 및 기대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5
·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http://www.mest.go.kr
· 교육과학기술부, 2006, 고급 전문서비스 인력양성(경영학) 분야 사업신청 작성요령, 교육과학기술부 BK21
·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0학년도 경영(금융, 물류) 전문대학원 설문조사 연구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개발사업
· 곽병진 외 3인 2008, JD/MBA 복수학위과정의 해외 운영 현황 및 국내 도입 가능성에 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12(1)
· 김성훈, 이호섭, 2008,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에 따른 대학의 효율성과 대학평가 결과 비교, 교육평가연구, 21(1) : 1-26
· 강호상, 하영원, 이정진 (1996). “우리나라 경영대학원 교육에 대한 평가 및 기대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MBA 과정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1(1),69-92.
· 권영훈 (2010). “경영학 교육 강의평가모형 개발,” 경영교육연구, 62, 225-244.
· 김민수, 손태원, 김래수 (2010). “2010학년도 경영(금융ㆍ물류)전문대학원 설문조사연구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 김진천 (1997). “대우-미시간 Global MBA 과정,” 경영교육연구, 1(1), 113-124.
· 김형철 (2009). “경영전문대학원에서의 기업윤리교육방법론,” 윤리경영연구, 9(1),31-51.
· 남상구, 강준구, 김언수 (1996). “대학원 중심교육과 경영학 교육의 방향,” 한국경영 학회 창립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 문석환, 권령민, 문선정 (2008). “경영교육의 진화,”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1, 38-45.
· 박민정 (2014). 국내 MBA 학위과정의 학습전이 과정 및 영향요인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주홍 (2009). “한국과 독일의 경영전문대학원 MBA 과정의 비교연구,” 경영경제,42(9), 95-119.
· 박주홍 (2009). “한국, 독일과 미국의 경영전문대학원 커리큘럼에 대한 비교 연구:필수과목을 중심으로,” 경상논총, 27(4), 25-43.
· 백태영, 손성규 (2007). “경영학 교육과 경영전문대학원-운영실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전남대학교 대학경영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경영교육세미나.
· 사토 지에 (2014), 황선종 역 (2014). 세계 최고의 MBA는 무엇을 가르치는가, 싱긋.
· 강호상,하영원,민재형,이정진(1996).우리나라 경영대학원 교육에 대한 평가 및 기대에 관한 연구:서강대학교 MBA 과정을 중심으로.경영교육연구,1(1),69-92.
· 권영훈(2010).경영학 교육 강의평가모형 개발.경영교육연구,62,225-244.
· 김민수,손태원,김래수(2010).2010학년도 경영(금융·물류)전문대학원 설문조사 연구 보고서.교육과학기술부.
· 김진천(1997).대우-미시간 GlobalMBA 과정.경영교육연구,1(1),113-124.
· 김형철(2009). 경영전문대학원에서의 기업윤리교육방법론. 윤리경영연구,9(1),31-51.
· 남상구,강준구,김언수(1996).대학원 중심교육과 경영학 교육의 방향.한국경영학회 창립 40주년 기념 심포지엄.
· 문석환,권령민,문선정(2008).경영교육의 진화.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51,38-45.
· 박주홍(2009).한국과 독일의 경영전문대학원 MBA 과정의 비교연구.경영경제,42(9),95-119.
· 박주홍(2009).한국,독일과 미국의 경영전문대학원 커리큘럼에 대한 비교연구:필수과목을 중심으로.경상논총,27(4),25-43.
· 백태영,손성규(2007).경영전문대학원 제도 운영의 현황과 이슈.경영교육연구,10(2),203-224.
· 손기형(2007).경영학 교육과 경영전문대학원-운영실태,문제점 및 개선방안.전남대학교 대학경영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경영교육세미나.
· 손성규(2003).연세대학교 국제 연계 MBA 프로그램의 내용,문제점 및 개선방안.경영교육연구,7(1),63-83.
· 송계층(1999).경영관련 교육에서의 학부제 도입의 배경과 현황.경영교육연구,3(1),33-60.
· 김선화. 2011. 가족기업의 승계프로세스와 성공적 승계요인, 서울과학종합대학원
· 강정문. 2010. 중소가족기업의 효율적인 경영승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벤처전문기술학과
· 정병창. 2011.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가업승계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벤처경영학과
· 정종선. 2013.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가업승계에 관련 문제점 개선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경영학과
· 황조익. 2012. 중소규모 가족기업의 승계효율성 제고를 위한 후계자교육훈련과 역량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벤처전문기술학과
· 박기준. 2010. 한국 기업2세 경영승계교육의 특징.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과
· 남영호. 2009. 가족기업의 연구동향과 과제. 중소기업연구 39-54
· 조병선, 조봉현. 2007. 중소기업의 경영승계 원활화를 위한 정책과제. 중소기업연구 제29권 제4호
· 박기준, 이춘우. 2011. 중소중견가족기업의 2세 경영승계교육훈련에 관한 6개사 관찰연구(Asia Pacific of small business, Vol.33,No215-219(jun,2011)
· 조병선, 조병현. 가족기업 승계지원정책의 현황과 발전방안(Asia Pacific of small business, Vol.33, No3 49-71(September, 2011))
· 이장우 외 2, 가족승계와 가족기업의 경쟁력 : 에스엘 사례(, Asia Pacific of small business, Vol.32, No4 145-166(December, 2010))
· 남영호, 김선화. 2011. 가족기업의 승계프로세스 관련 이해관계자별 영향요인에 관한 문헌 검토(Asia Pacific of small business, Vol.33, No323-48,2011)
· 조병선, 조봉현, 최봉길, 이윤생, 유용관. 2012. 가족기업 경영과 승계전략.경제법륜사
· 중소기업청, 중소기업중앙회. 2012. 가업승계 A에서 Z까지(2012 중소기업가업승계안내서)
· 최종후, 전새봄. 2013. 설문조사 처음부터 끝까지. 자유아카데미
· 김효창. 2014. 혼자서 완성하는 통계분석.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