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옥수선, 「유아기 자녀를 둔 비공개입양가족의 적응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불임의 비공개입양부모의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55-84쪽, 2014.
· Kadushin, A., 『Child welfare service』, NewYork : Macmillan Publishing, 1980.
· Glidden, M.L., 「Adopting Children with Developmetal Disabilities : A Long-Term Perspective」, Family Relations, 49: 397-405, 2000.
· 김영화, 「영아기 입양아의 입양 후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 김현용, 『현대 사회와 아동: 아동복지의 시각에서』, 소화, 1997.
· Barth, R.P., & Berry, M., 「Modern applications of social work」, 『Adoption and disruption: Rates, risks, and responses』, Aldine de Gruyter, 1988.
· Partridge, L., Homby, H., & McDonald, T., 『Legacies of loss, visions of gain』, ME: University of Southern Maine, Portland, 1986.
· 권지성, 「공개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입양홍보회 참여가족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 Brinch, P.M., and Brinch, E.B., 「Adoption and adaptation」,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60: 489-494, 1982.
· 최지희, 「국내입양에 대한 의식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 최정숙, 「입양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탐색적 연구: 예비입양부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20권, 361-398쪽, 2007.
· Gill, M., 「Adoption of Older Children: The Problems Faced」, Social casework, 59(5): 272-278, 1978.
· 윤현선, 「국내입양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부모역할수행자신감, 가족적응력간의 관계 : 자조모임 참가 입양부모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 McDonald, P.T., Propp, R.J., & Murphy, C.K., 「The Postadoption Experience: Child, Parent, and Family Predictors of Family Adjustment to Adoption」, Child Welfare, v 80 #1, Jan/Feb., pp. 71-94, 2001.
· 장혜규, 「파양사례를 통해 본 입양 후 사후관리에 관한 연구 : 국내입양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