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회로실험1) USART 통신 결과보고서
- 최초 등록일
- 2020.07.09
- 최종 저작일
- 2020.04
- 16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목차
1. 예제
2. 과제내용
3. 고찰
4. 참고자료
본문내용
1) Serial.print()와 Serial.write()의 문자열 출력(강의노트 p.6-7)
첫번째 예제는 Serial.print()함수와 Serial.write()함수에 문자열을 입력으로 하여 출력의 형태를 관찰하는 예제이다.
코드에 대한 설명은 강의노트에 나와있기 때문에 생략하고 강의에 나온 그대로 코드를 작성하여 시뮬레이션을 돌렸더니 시리얼 모니터를 통해 강의노트의 7페이지와 같은 결과가 나왔음을 알 수 있었고 입력이 문자열인 경우 Serial.print()함수와 Serial.write()함수의 결과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2) 문자열 더하기 & Serial.print()와 Serial.write()의 차이점 (강의노트 p.8)
두 번째 예제는 Serial.print()함수를 이용해 문자열끼리 더한 입력이 주어질 때 출력을 관찰하는 예제와 ASCII 코드를 입력해 Serial.print()함수와 Serial.write()의 차이를 알아보는 예제이다. 먼저 강의노트 8페이지의 왼쪽에 있던 코드를 작성한 후 시뮬레이션을 했는데 str1인 “Hello”와 str2인 “world”, 그리고 “\n”을 더하니 그대로 “Helloworld\n”이 되었음을 시리얼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오른쪽에 있는 코드를 작성 후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는데 시리얼 모니터를 확인할 수 있듯이 Serial.print(ascii)=”65” Serial.write(ascii)=’A’로 결과가 나옴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강의노트에도 나와있듯이 Serial.write()함수의 경우 byte 단위로 전송하고 수신자는 ascii의 값인 65라는 숫자를 받아 이를 ASCII코드로 인식하기 때문에 해당 값인 ‘A’를 출력하게 되고 Serial.print()함수의 경우 65에 해당하는 String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그대로 “65”를 출력하게 된다.
참고 자료
김경연, 장정형, 박민상 공저, 실험KIT와 함께하는 ARDUINO 입문서 아두이노 완전정복(2판), (복두출판사, 2014), p.7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