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실험 인장, 충격, 경도 실험 결과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20.07.07
- 최종 저작일
- 2014.12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인장시험
2. 충격시험
3. 경도시험
본문내용
1. 인장시험기의 종류와 장단점
- 예비 레포트 참고
2. 표준인장시험편의 종류와 용도
- 예비 레포트 참고
3. 응력과 변형률 선도의 작성
4. 기계적 특성(계산 & 문헌결과와 비교)
# 탄성계수 (문헌 값 : 190~210GPa)
: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임의의 직선구간을 잡아 구간내의 기울기를 구해 탄성계수로
사용한다.
# 항복점 (문헌 값 : 448~586MPa)
# 인장강도 (문헌 값 : 420MPa)
# 연신율
# 단면수축률
5. 재료의 파단면을 입체적으로 도시
6. 고찰
- 오차원인
① 시험편의 길이와 단면적을 우리가 직접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해 측정했기 때문에 정확한 값이 아니다.
② 인장시험의 경우 온도의 영향을 받지만 실험실의 온도를 생각하지 않고 시험을 진행하였다.
③ 인장 시험기가 노후되고 깨끗하지 않아 정확한 값을 측정하지 못했을 수 있다.
④ 응력-변형률 선도의 해석을 통해 탄성계수, 항복점 등의 결과값을 얻었는데, 그 해석 과정에서 offset방법도 이용되었고 정확한 위치를 찾기가 힘들어 눈대중으로 가장 이론값과 비슷할 것이라 생각되는 값을 찾아 사용했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많은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다.
- 오차 해결 방법
① 우리가 직접 길이와 단면적을 재는 것 보다 일정한 규격으로 생산된 시험편을 사용한다면 더 정확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② 실험실의 온도가 시험편의 인장에 끼치는 영향까지 고려한다.
③ 시험기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새로운 시험기를 사용한다.
④ 측정하는 시간 간격을 더 좁혀 더 많고 자세한 결과값을 얻어 사용한다.
-고찰
인장시험은 시험편이 파단 될 때 까지 시험편에 천천히 인장하중을 가하면서 인장력에 대한 응력-변형률 선도를 구하고, 그 선도로부터 시험편 재료의 탄성계수와 항복점, 인장강도, 연신율, 단면수축률을 볼 수 있는 시험이다.
우리가 실험한 값을 통해 응력-변형률 선도를 그려보면, 시험편에 힘이 가해지기 시작하면서 그래프의 기울기가 증가하다가 항복점에 도달하면서 기울기가 완만해지기 시작하고 그 이후 파단에 이르기까지의 그래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