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실습 case 급성 편도선염(Acute Tonsillitis) 진단 3개 +실습 후 느낀점 포함
- 최초 등록일
- 2020.07.05
- 최종 저작일
- 2019.03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아동간호학실습 case 급성 편도선염(Acute Tonsillitis) 진단 3개 +실습 후 느낀점 포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적 검사
5) 치료
6) 간호
Ⅱ.Case study
1) 환자 프로파일
2) 임상검사
3) 투약처방
4) 성장곡선차트
5) 성장과 발달
6) 가정환경
7) 간호과정
Ⅲ. 느낀점
본문내용
문헌고찰
급성 편도선염 - (Acute Tonsillitis Case Study)
1) 정의
급성편도염이란? 편도를 구성하는 혀편도, 인두편도, 구개편도 중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을 말하며,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감염을 통해 발생하며, 주변 인후 조직의 임파선을 침범하는 인후염이 생길 수 있다.
2) 원인
편도선염은 인두염과 함께 발생하며, 비후된 림프조직과 잦은 상기도감염으로 아동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급성 편도선염은 세균성 감염이 흔하고 드물게 연쇄상 구균에 의해 일어난다. 공기나 음식에 의하여 전염되며 소아에 가장 흔하나 어느 연령에서나 일어날 수 있다. 또 비강 및 부비동 수술 후나, 환절기와 같은 기후변동에도 그 편도선염이 나타날 수 있다.
3) 임상증상
증상은 편도의 위치와 연관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갑작스러운 고열과 오한이 나타난다. 뒤이어 인후통이 발생하고, 인두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연하곤란 증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근육통, 두통, 전경부 림프선 부종이 나타난다. 또한 염증으로 인해 구개편도가 비대해져 음식물 뿐 아니라, 공기의 통과도 어렵게 한다. 만일 아데노이드가 비대해 지면 후비공이 폐쇄되어 코로 숨 쉬는 것이 힘들어지고 결국 구강호흡을 하며 코골이와 수면장애를 초래한다.
합병증으로 만성 편도선염, 급성 중이염, 급성 비염, 급성 부비동염, 편도주위 농양 혹은 심한 경부농양 등이 발생한다.
4) 진단적 검사
말초혈액도말 검사상 백혈구 증가증이 있으며, 급성기에는 표적세포(target cell)가 발견되기도 한다. 세균성 편도염의 경우에는 그람 염색법이 세균 확인에 유용하며, 경험적 치료를 시행했을 때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는 세균배양검사가 도움이 된다.
5) 치료
급성 편도염의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는 염증을 제거하고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 계열의 진통제를 투여하게 되고, 세균성 편도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페니실린 등의 전신적인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참고 자료
윤희옥 외 9명, 아동간호학1-현문사, 2016
윤희옥 외 9명, 아동간호학2-현문사, 2016
차영남 외 4명,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 현문사, 2013
네이버 지식백과-편도선염 (사진첨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