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ammar, N., &Stein, E. (2019). Irritable bowel syndrome: What treatments really work doi:https://doi.org/10.1016/j.mcna.2018.08.006 "
· Mearin, F., Rey, E., &Santander, C. (2018). Irritable bowel syndrome: How to improve decision making in clinical practice doi:https://doi.org/10.1016/j.medcle.2018.11.004
· Sarembaud, A. (2016). Irritable bowel syndrome, therapeutic proposal with colocynthis doi:https://doi.org/10.1016/j.revhom.2016.10.005
· Seung-whan Oh, &Bong-ha Ryu. (2011). Experimental studies on the antidiarrheal effects of anjang-san. 대한한의학회지, 32(6), 54-66.
· Su Jin An, Jae Yeong Kim, In Soon Choi, &Kwang Keun Cho. (2013). Insights into the roles of prebiotics and probiotics in the large intestine. 생명과학회지, 23(10), 1295-1303.
· 김광철, &임상현. (1998). 81. 과민성대장증후군 성하출판사.
· 김정환, &성인경. (2014). 과민성장증후군 치료전략: 언제, 어떤 약을 사용할 것인가? 대한내과학회지, 86(6), 695-697.
· 김혜진, 강경민, 김수진, &임은옥. (2014).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의 최근 동향. 미생물학회지, 50(4), 265-274.
· 김회영, 남효익, 손현수, 박상무, Kim, H., Nam, H., . . . Park, S. (2007).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의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투여(投與) 1례(例).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15(2), 179-186.
· 박경식. (2018). 과민성장증후군 치료에서 저포드맵식이의 역할은? 대한소화기학회지, 71(2), 107-111.
· 박상무, 남효익, 김회영, &손현수. (2007).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의 正傳加味二陳湯 投與 1例.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15(2), 179-186.
· 박예준, 이두리, 윤희선, 김재희, &이미진. (2015). 과민성 대장증후군과 대인 공격성 간의 관계. Paper presented at the 481-481.
· 박재명, 최명규, 권정현, 허원행, 남관우, 서정필, . . . 정인식. (2007). 소화관운동 : 한국인에서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1 유전자 다형성과 과민성 장증후군 대한소화기학회.
· 백창렬, 최명규, 남관우, 권정현, 장재혁, 서정필, . . . 정인식. (2007). 원저 : 한국인의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소장세균과다증식증의 유병률.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13(1), 38-44.
· 송해정, 이준성, 임희혁, 정인섭, 고봉민, 홍수진, . . . 김부성. (2006). 구연 : 소화관운동 ; 변비우세형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에서 배변관련 증상과 직장감각 및 정신건강상태의 연관성. 대한소화기학회 추계학술대회, 2006(-), 251-251.
· 이용태, 최병태, 최영현, &한진수. (2005). 과민성대장증후군의 형상의학적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9(5), 1129-1136.
· 이종수, 정성애, 염혜정, 조유경, 김성은, 이시내, &문일환. (2005). 장결핵 환자에서 감염후 과민성 장증후군의 발생빈도와 임상양상. Intestinal Research (Intest Res), 3(1), 55-60.
· 이지선,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1027-1040.
· 이진주, 김지명, &김유리. (2013). 혈액투석을 실행중인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식사관련 삶의 질(Diet-related quality of life)과 식사요법 실천도,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위장관 증상과의 관련성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46(2), 137-146.
· 정조윤, &주영은. (2014). 최신 연구 소개 : 저 발효성 올리고당류, 이당류, 단당류, 폴리올 식이가 과민성장증후군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가? 대한소화기학회지, 64(2), 123-125.
· 조명숙, 박영미, 최진, 송윤미, &김선영. (2010). 교대 근무를 하는 여성 간호사의 과민성 장 증후군과 신체 활동도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7), 529-539.